뉴스
"컴퓨터"(으)로 총 4,4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파고 2승] AI가 그리는 잿빛 vs. 장밋빛 미래 2016.03.11
- 역시 신기술이 겪는 성장통의 일종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공학과 출신의 천재 과학자 레이 커즈와일 구글 엔지니어링 이사는 2014년 ‘타임’ 기고문에서 “인공지능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생물학 무기와 유전자 재조합 기술 등 신기술이 ... ...
- [알파고 2승][제2국 분석] 알파고에게 ‘당연한 수’는 당연하지 않았다2016.03.11
- 나쁘다’고 느끼지만 구체적으로 얼마나 손해를 본 것인지는 평가하지 못합니다. 반면 컴퓨터인 알파고는 중복이 된 부분이 어느 정도인지,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이길 확률을 점점 높여가고 있는 것이지요. ●흑 43수: 흑 43수 - 바둑의 제왕 제공 1국과 ... ...
- [알파고 2승] 알파고, 네 부모님이 누구니2016.03.11
- 사람이 많지만 실체를 보긴 어렵다. 알파고는 수많은 컴퓨터를 병렬로 연결한 분산형 컴퓨터이기 때문이다. 이마저도 어느 한곳에 있지 않고 여기저기에 흩어진 채 인터넷으로 연결돼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작동한다. 다만 이 덕분에 알파고는 인터넷이 연결된 곳이라면 전 세계 ... ...
- [알파고 2승] 영화 속 AI, 얼마나 현실화됐나2016.03.11
- 가상현실 속에 인간을 가둬놓고 가축처럼 사육한다. AI와 인류의 반목은 고성능 컴퓨터에 대한 인류의 불안감을 극대화시킨다. 하지만 AI 전문가들은 아직까지는 인류를 위협하거나 지배하는 AI가 현실에 등장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지적한다. 현재 AI 기술은 주어진 상황을 판단하고 정해진 ... ...
- [알파고 2승] AI, 그 끝은… ‘인공두뇌’2016.03.11
- 기본 단위가 100개 정도 모인 일종의 뇌 회로다. 유럽연합은 2023년까지 인간의 뇌 전체를 컴퓨터 안에 만들 계획이다. 미국도 2년 전 총 1억 달러(약 122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입하는 ‘오바마 뇌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유럽연합과 비슷한 방식으로 정밀한 뇌 지도를 만드는 게 목표다. 이지수 KISTI ... ...
- 바둑 다음은 스타, 알파고가 스타크래프트에 도전한다면? 2016.03.10
- 키보드를 통해 아무리 빨라도 한번에 한 가지씩 명령을 입력할 수밖에 없는 인간과 달리 컴퓨터는 동시다발적으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데요. 만약 알파고가 스타를 플레이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인공지능이 아니라, 로봇이 필요한 상황이 올까요? 아니면 알파고의 명령을 실시간으로 받아 ... ...
- 인터넷 생중계 23만 동시접속… 국가대표 응원하듯 “李 파이팅”동아일보 l2016.03.10
- 건씩 올라왔다. 영화 ‘터미네이터’에서 인류를 멸망시키려 전쟁을 일으킨 인공지능 컴퓨터 ‘스카이넷’을 거론하거나 미국 록밴드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ge Against The Machine·기계에 대한 분노)의 노래를 틀자고 주장하는 누리꾼도 있었다. 이날 증권시장에서는 인공지능 관련주의 ... ...
- 동료기사들 “바둑마저 정복 당하다니… 알파고 실수 공략못해 아쉬워”동아일보 l2016.03.10
- 9단은 “바둑도 인간이 컴퓨터와의 대결에서 패배하는 시기가 오게 됐다”며 “인간과 컴퓨터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바둑계 차원에서 모색해봐야 된다”고 말했다. 일부 기사는 “승부를 떠나 이 9단과 알파고의 대결 자체가 사람들로부터 전에 없는 높은 관심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이를 ... ...
- “구글 창조물, 학습능력 보여줘” “알고리즘이 인간 직관력에 앞섰다”동아일보 l2016.03.10
-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 9단이 알파고에 ‘충격패’를 당했다”며 “그동안 바둑은 컴퓨터가 인간을 따라갈 수 없는 마지막 게임으로 여겨졌지만 이번에 그것이 정복된 셈”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도 “인간이 우위라고 알려진 바둑에서 AI에 패배했다”고 전했다. 총 5번 대국 중 ... ...
- [알파고 1승]“정교하지 못한 알파고, 남은 대국 이세돌 승리 가능성 높아” 2016.03.10
- 없다. 학습된 패턴에 의존하지만 그 번지수가 틀렸을 때 갑작스러운 난조로 이어지는 컴퓨터 바둑의 특성이 확연히 드러났던 장면이다. 이제 바둑은 이세돌 9단이 확실히 좋다. 사이버오로 홍민표 9단의 해설에 따르면 흑이 반면 20집 이상 앞서있다. 백이 둘 차례이긴 하지만 초일류 레벨에서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