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보드게임 변형의 달인, 비법 공개!수학동아 l201105
- 안녕하세요.‘달인을 만나다’의 류담입니다. 오늘은 16년째 변형 보드게임만 만들어온 보드게임 변형의 달인,‘트랜스포머’김병만 선생을 모셨습니다. 정말 어떤 보드게임도 변형할 수 있을까요? 달인, 반갑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보드게임 변형의 달인, 비법 공개!PART 1 어떤 보 ... ...
- PART 1 어떤 보드게임도 새롭게 탄생한다! : 카드를 전부 내야 한다, 우노수학동아 l201105
- 16년 동안 보드게임을 하면서 변형 게임을 만드셨다는 게 사실인가요? 그냥 게임만 하셨으면서 거짓말하시는 건 아니죠? 어떤 게임도 변형 게임을 만들 수 있다고 하시니, 우선 간단하게 카드게임‘우노’의 변형 게임을 보여주시죠.카드로 하는 보드게임 하면 우노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우노로 ... ...
- PART 1-2 골고루 세력을 확장하라, 인지니어스수학동아 l201105
- 그런데 말이죠. 보드게임 하면 말 그대로 커다란 판 위에 말을 놓는 게임이 생각납니다. 그런 게임도 변형할 수 있을까요? 이번에 준비한 게임은 제가 좋아하는 ‘인지니어스’란 게임입니다. 벌집 모양처럼 생긴 육각형 보드에 타일을 놓는 게임이죠. 이 게임도 변형하실 수 있나요?그럼요. 그 게임 ... ...
- PART 2 달인의 노하우, 전격 공개하다! : 변형 보드게임 만들기, 4단계!수학동아 l201105
- 여러 가지 게임을 변형하시는 걸 보니까 달인이 맞긴 맞는 것 같네요. 그런데 저도 듣다 보니까 게임을 변형해보고 싶은데, 게임을 변형하는 방법을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저는 루미큐브를 좋아하는데, 한 수 배워서 변형 루미큐브를 만들어 보고 싶네요.지금 내가 16년 동안 노력해서 겨우 차린 밥 ...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수학동아 l201105
- 침대에 누워서 해결합니다. 반쯤 졸면서 생각할 때 멋진 해결책이 떠오르곤 하죠.”세르 교수에게 ‘어려운 문제’를 하나 냈다. 2012년 국제수학교육대회와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처럼 세계적인 행사 준비에 바쁜 한국 수학계에 조언을 부탁했다. 그는 잠시 눈을 감더니 이렇게 말했다.“한국 ...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수학동아 l201105
- 번째 문제가 ①번 유형, 두 번째 문제가 ②번 유형이다. 이 4가지 유형의 문제는 장경윤 교수의‘수학평가에 있어서 테크놀로지의 역할’논문에서 뽑아낸 것이다. 이 문제는 ③번 유형으로 평균의 의미를 알고 사칙연산을 잘하는 학생에게는 전자계산기를 쓰거나 쓰지 않거나 큰 차이가 없는 ... ...
-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105
- 수학교육개선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황선욱 숭실대 수학과 교수는“위원회의 14명 전원은 원칙적으로 전자계산기 사용에 찬성한다”며“언론에서 잘못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아 전자계산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전자계산기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과학동아 l201105
- 사람들을 위해 입문서를 한 권 추천해주시기 바랍니다.김 동국대 화학과 여인형 교수가 쓴 ‘퀴리부인은 무슨 비누를 썼을까?’라는 책이 떠오르네요. 화학과 관련된 건강, 생활, 환경 등 일상 주제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책으로 일반인이 화학에 대해 갖고 있는 선입견이나 오해를 푸는 데도 큰 ...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과학동아 l201105
- 아무도 사람이 살지 못한다우리나라에서도 몇 년 전 전문가(자연과학·공학 전공 교수와 연구원)와 일반인(대학생)을 대상으로 원전과 방폐장, 원자력, 핵폐기물 등의 원자력 관련 위험과 자전거, 흡연, 에이즈, 유전자변형식품, 외과수술, 백신, 테러 등 모두 30가지 위험에 대해 조사한 연구가 ... ...
-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과학동아 l201105
- 급등하는 현대 사회의 문제로 보는 전문가도 있다. 김대진 가톨릭대 의대 정신과교수는 “우리 사회에 지나친 성공 지향주의와 생명 경시 풍조가 만연해 있는 게 문제”라며 “경쟁에서 밀린 학생들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패배감 모르는 영재는 정신적으로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