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제5의 힘 이번에는 그린랜드에서 실험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크기는 중력의 50분의 1 정도.이 발견은 물리학계에서 지난 3년동안 논란거리로 줄곧
남아
있던 문제를 재확인 즉 추인(追認)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말하자면 '제5의 힘'이 새로운 원군을 얻은 셈이다. 만물을 밀어내는 '하이퍼차지'지난 86년 1월 미국 '퍼듀'대학의 '피쉬바흐'에 의해 처음 알려진 '제 ... ...
몸살 앓는 정부출연 연구소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의해 제동이 걸리는가 하면 박사와 비박사간의 차별대우시정 등은 여전히 문제거리로
남아
있다.정부의 강경대응으로 예측불허한편, 정부측은 연구소노조측의 주장에 강경하게 대응할 태세여서 만만치 않은 앞날이 예상된다. 지난 6월27일 열린 긴급경제장관회의헤서 나웅배부총리는 "운영·인건비 ... ...
색깔의 본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반사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사실까지 밝혀낸 데카르트에겐 이제 단 한가지 문제만이
남아
있었다.그것은 '무엇 때문에 서로 다른 색깔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였다. 이 마지막 난제를 설명하기 위해 그는 테니스 공을 이용했다."흰색이란 대리석 위에 테니스공(즉 빛)을 튀기는 것처럼 들어온 빛을 ... ...
북해에서 물개 2천여마리 떼죽음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분리했다고 밝혔다.하지만 그들의 공언이 인정을 받으려면 아직 몇 가지 절차가
남아
있다. 문제의 바이러스가 모든 물개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면 설득력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건강한 물개는 그 바이러스가 없음을 증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학자들은 말짱한 물개를 찾아나서고 있다 ... ...
과학과 가치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제공하고 있음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많은 문제들이
남아
있으며 매우 어렵고 심각한 새 문제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개인간 사회계층간 그리고 민족간 국가간의 갈등 문제가 아직 풀리지 않고 있다. 또 종래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인구문제 공해문제 그리고 ... ...
'제2지망'이 일생의 학문으로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했으나 2지망으로 천문기상학과에 합격하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의과대학에 미련이
남아
당시 후기대학이던 가톨릭의과대학을 지원하여 합격을 하게 되었다.의사가 되느냐, 자연과학자가 되느냐하는 기로에 서서 고민에 빠졌다. 하지만 경제 현실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었기에 기상학을 택하게 ... ...
인삼연초연구소장 이종화박사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더 좋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아마 과거부터 양담배 선호의식이 아직도
남아
있어 일종의 선입견으로 작용돼 양담배를 찾고 있는 게 아닌가 보여집니다."담배연구소여서 그런지 이종화소장을 비롯한 연구소 간부들 모두가 줄담배를 피우고 있다. 지금 무슨 담배를 피우고 있느냐고 물었더니 '8 ... ...
기상의 인공조절, 이상과 현실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경제적 가치가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며, '실용화 단계'는 앞으로의 '꿈'이라는 숙제로
남아
있다.□안개의 인공소산비행장의 활주로에 안개가 끼어 비행기가 이착륙을 못할 때 인공적으로 안개를 없애는 것이 인공적인 안개소산의 대표적인 경우다. 이 문제는 1960년대에 미국의 육·해·공군에서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굳어지면서 수목은 높은 열에 의해 연소돼 버리고 그 자리에 나무껍질이나 나뭇결 등이
남아
있는 암석, 화산탄은 화산이 폭발할 때 화구에서 치솟아 올라간 용암이 공중에서 회전하면서 떨어져 방추형(紡錐形) 또는 접시모양 등의 형태로 된 것이다.자연사전시실의 지질코너에서 제주도가 어떤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섬광을 내보내지 않는다. 이처럼 다소 위험스럽고 느린 접근 방법은 한동안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의문을 품은지 20년이 지난후에야 비로소 그사연이 밝혀졌다. 즉 다른 반딧불에 의해 잡아먹힐 가능성을 사전에 봉쇄한 고육책을 알게 되었다.수컷 안굴라타는 나무나 숲의 꼭대기에서 혼자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