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6T - 메가톤급 산업혁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문어발식 기업들이 무너지는 모습을 보았다. 6T에
대
한 투자는 물론 그 타당성에
대
한 검증이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는 조심스런 입장이다.그러나 우려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6T가 인류를 한단계 진화시킬 미래 기술이라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또한 6T 분야가 인류 역사상 가장 치열한 경쟁이 치러질 ... ...
IT - 디지털 마술방망이의 신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쇼핑은 없다. 그래서 기업들은 IT산업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다가오는 디지털지갑 시
대
를 맞이하기 위해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또한 앞서 선견지명씨가 봤던 새로운 IT산업이 속속 등장할 것이다. 앞으로 IT 산업을 받치고 있는 수많은 기업들의 행보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 ...
제왕의 등장 알리는 징표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리나라에서 계속 기세를 펼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 결혼 정보회사가 미혼 남성을
대
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6.3%가 말띠 여성은 싫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말띠 여성이 기가 드세다는 생각 보다 어른들이 싫어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들었다. 말띠의 잘못된 편견이 올해에는 없어지기를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자신의 섬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4년 만에 문명으로 돌아온 척의 모습에서 프라이데이의
대
사가 떠오르는 것은 어떤 이유일까. 척은 4년 간의 단절 때문에 자신의 많은 부분을 잃어버렸다. 그가 사랑하던 사람은 이미 다른 사람의 아내가 돼 있었다.사람은 홀로 존재하는 존재가 아닌 다른 사람과의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반인 5시간 뒤, 밤 11시에 목성을 본다면 목성에서
대
적반을 볼 수 없을 것이다. 그 다음
대
적반을 볼 수 있는 시각은 목성이 정확히 한바퀴를 돌고 난 9시간 55분 뒤다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NASA가 지원하고 세티(SETI) 연구소가 운영하는 화성용 모의 거주모듈이 설치돼 6명씩 교
대
로 거주하면서 총 25명의 화성우주비행자원자가 생활한 바 있다. 결국 다양한 무인 탐사선의 활동으로 수집된 자료들은 이들을 화성으로 보내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물론 이들에게 실제 ... ...
위
대
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과학이 학문의 한분야로 정착되지 못했던 시절, 과학연구와 과학교육의 정착을 위해
대
를 이어 봉사해온 과학자 가문이 있다. 바로 케임브리지
대
의 캐번디시 ...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머리 스타일과 옷장식에서 물씬 풍겨나는 복고풍 작금의
대
중문화, 그것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 ...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생명공학과 신소재 개발 연구가 화학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세포 속에 존재하는 초분자를 모방해 생명의 신비와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초분자화학. 초분자화학이란 무 ...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초분자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일이 가능해질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
대
하고 있다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피어로부터 받은 요구에 응답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이 활용하는 서비스에
대
해 통제권과 자율성을 가질 수 있다.따라서 P2P 컴퓨팅에서는 기존의 서버 집중식 네트워크가 갖던 문제점인 트래픽 부하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용자가 증가할수록 효율적인 P2P ... ...
노벨상 도전하는 세계적 과학자 양성 과학영재학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속진학습과정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추진중이다. 과학기술부는 영재학교 학생들이
대
학입시에 신경을 쓰지 않고 과학적 창의성과 열정을 발산할수 있도록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지금 부산과학고, 부산시교육청, 그리고 과학영재교육 전문가들은 분주하다. 이 모든 일이 1년 안에 준비돼야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