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LED 신호등을 많이 사용하면 먹통이 된 신호등을 보기 어려워질 것이다. 또 LED의 경우
반응
속도가 빠른데, 끄고 켜는 속도를 빨리 해도 작동한다는 말이다. 반면 백열전구는 고속으로 켰다 껐다 반복하기 어렵다. 이같은 특징을 가진 LED는 어디에 쓰이고 있을까. 예상 외로 특별한 곳이 아니라 우리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통해 질병 단백질의 기능을 결정하는 3차원 구조를 정확히 알게 되면, 이 단백질과
반응
하는 화학물질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구조생물학이 신약 발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것이다.한 예로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이 갖고 있는 효소인 우레아제의 단백질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비교도 안된다. AFM을 이용한 바이오칩은 집적도가 기존보다 1억배 증가한 셈이다. 이
반응
결과도 AFM으로 읽을 수 있어 분석하고자 하는 샘플에 염색할 필요가 없다. 이같은 방법을 나노펜 기술이라고 하는데, 이 연구의 개발자는 나노펜 기술을 상업화하기 위해 나노잉크라는 벤처기업을 차렸다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깬 일이 대표적인 예다.5 페널티킥 -승부차기 이기는 선수배치공의 속도와 골키퍼의
반응
속도를 감안할 때 페널티킥은 제대로만 차면 들어간다. 하지만 이번 월드컵에서는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는 일이 쉽지만 않다는 점을 보여줬다. 8강전까지 총 18번의 페널티킥이 선언됐는데, 이 가운데 5번이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존의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으로는 아무리 복잡한 상황을 만들더라도 어떤 식으로
반응
할 것인지 대충 예측할 수 있다. 반면 진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게임 진행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환경이 만들어지므로 전혀 예측할 수 없다. 가까운 미래에 스타크래프트나 리니지의 전략은 진화 알고리즘으로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심해진다는 것이다. 반도체 기술은 사진기술과 유사하다. 실리콘 웨이퍼 위에 특정 빛에
반응
하는 물질을 씌우고 여기에 빛을 비춰 형상(패턴)을 만들고 그곳에 성분을 주입(도핑)하고 다시 다른 물질을 덮는 작업(증착)을 한다. 패턴을 만들 때 패턴이 인쇄된 필름과 빛을 사용하므로 빛의 초점을 ... ...
작물 생산성 높여주는 이산화탄소 센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들어있다. 흥미롭게도 전지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 고체전해질은 공기 중 이산화탄소와
반응
해 자연적으로 전압을 발생시킨다.고체전해질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비례한다. 결국 이 전압의 양이 인간으로 치면 후각정보에 해당되는 셈이다. 이 전압 정보는 뇌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타났다. 연구진들이 애벌레들이 모인 것과 비슷한 모형을 세워뒀을 때는 수펄이 전혀
반응
하지 않고 아직 군집을 이루기 전에도 가뢰 애벌레에게 달려드는 것으로 보아 애벌레의 몸에서 벌 암컷이 내는 것과 같은 성 페로몬이 분비되는 것으로 보인다. 말하자면 시각과 후각을 모두 속이는 ... ...
산화·환원 이용한 음주측정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부풀린다. 그러면 운전자의 날숨에 남아있는 알코올이 튜브 안 중크롬산칼륨 결정과
반응
하고, 주황색이 튜브에 표시된 수준까지 변하면 운전자가 음주 한도를 초과한 것으로 간주했다.오늘날 사용되는 음주측정기는 대개 전자식으로 풍선식보다 훨씬 더 정확하다. 이 장치에는 튜브로 불어넣은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위해 쓰여진 것이고, 따라서 이 공동체 외부에서는 거의 이해되지 못했다. 최초의 대중적
반응
은 독일 비텐베르크 루터란대의 천문학자 집단이었다. 그들은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가설이 지닌 수학적 발전을 인정해 그것을 수학적으로 활용했다. 하지만 그들은 지구가 실제로 움직인다는 근본적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