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상현실 영상을 찍는 카메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먼저 동그란 틀에 여러개의 렌즈를 달아 놓은 ‘리그’ 타입이 있어요. 각각의 렌즈는 자신이 향한 방향의 영상을 찍어요. 내 방을 찍는다고 했을 때 위에 있는 렌즈는 천장, 옆에 있는 렌즈 네 개는 각각의 벽, 아래 렌즈는 방바닥을 찍는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모양이 결정된다. 연구팀은 나타내고자 하는 그림자 모양을 만들 수 있는 몸동작이 여러 개일 수 있다는 데 착안하고 함수를 만들었다. 즉, 사람의 자세를 결정하는 관절의 각도와 위치를 변수로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그림자가 목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했다.연구팀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 ...
- [News & Issue] 자동차 사고에도 끄떡없는 인간이 있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정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고 말했다.사고에 취약한 우리 인체우리의 몸은 여러 충격에 대해 그다지 강하지 않다. 그래프의 왼쪽은 자동차의 시속과, 아파트에서 자유낙하 할 때 지면에서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오른쪽은 각종 사고에서 인체가 받는 충격량과 아파트에서 떨어질 때의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화학분자를 인식해 먹는 행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종에 따라 더듬이, 다리, 입 등 신체 여러 기관에 미각기관이 있다.문제는 뇌 기능이다. 꿀벌과 대화를 나눌 수 없기 때문에, 꿀을 단순히 생존을 위한 먹이라고 보는지 아니면 ‘달콤한’ 먹이라고 느끼는지 인간은 알 길이 없다. 추론만 할 수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없었을 터다. 아직 다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장내미생물이 유아의 발달 과정과 성인의 여러 가지 면역 및 신경계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린다. 인간이 가진 수만 종의 미생물 가운데 오랜 시간 공진화해온 미생물에 연구자들이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법은 데이터 센터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대용량 서버와 저장 장치, 네트워크 장치 등 여러 전자 기기가 모여있는 데이터 센터는 서늘한 온도가 생명이다. 실제 데이터 센터의 내부 온도는 20°C 안팎으로, 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서버 운영에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추가로 사용한다. 별다른 장치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떠난 은경은 체중계의 경고를 망각한 채원 없이 먹어댔다. 핀초처럼 양 적은 음식을 여러 번에 나눠 먹는 식이기는 했지만 어쨌거나 매일 다섯 끼씩을 먹은 셈이었다.‘2킬로는 쪘겠네.’그러나 집으로 돌아와 체중계 위에 올라선 은경은 다시 한 번 당황스러운 기대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체중계의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블록이었지요. 이게 바로 ‘레고’랍니다. 레고엔 똑같은 크기와 모양의 요철이 있어서 여러 개를 이어 튼튼한 조형물을 만들 수 있어요. 레고는 이런 모양을 특허로 출원하면서 블록 장난감계의 대표 회사가 됐답니다.30년이 흐른 뒤, 레고의 특허권이 사라졌어요. 그러자 레고 외에도 다양한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5월 초순에 노란빛을 띤 흰색의 꽃을 피우는 희귀식물로, 진달래나 철쭉과는 달리 꽃 여러개가 모여나는 특징이 있지요. 이 종은 지금껏 일본에서만 자라는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지난해 봄에 국립수목원의 박사님들이 전남 여수시의 섬 지역에서 자라는 섬진달래를 발견하고,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않는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수돗물은 칼슘 이온, 나트륨 이온 등 여러 이온들을 가지고 있어 실제 실험에선 설탕물도 전기가 약간 통할 수 있어요.소금물을 이용해 반죽을 만들면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반죽을 만들 수 있어요. 이때는 밀가루를 이용하는 게 좋아요. 밀가루에 들어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