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활동하는 시각을 피해서 수원청개구리가 노래한다는 사실도 확인됐어요. 실험실 연구원들과 함께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 몸에 추적 장치를 붙인 뒤, 각 개체를 졸졸 따라다니며 행동을 연구하는 ‘추적 연구’를 했어요. 그 결과 청개구리는 노래를 하기 위해 오후 7시쯤 논으로 이동하는데,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최근 왜소행성 세레스의 표면에서 하얗고 반짝이는 점이 관찰됐어요. 세레스는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 벨트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천체예요. 지름이 약 950km나 된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이 천체를 탐사하기 위해 2007년에 ‘돈(Dawn)’이라는 무인 탐사선을 보냈죠. 세레스의 표면을 ...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피부를 통해 스마트폰 화면을 볼 수 있을지도 몰라요.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과 김대형 연구위원팀이 스티커처럼 피부에 붙일 수 있는 얇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거든요. 이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약 2.6㎛(마이크로미터, 1㎛는 1m의 100만분의 1) 정도로, 머리카락 두께의 약 4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질량은 ‘1kg + 485㎍’에서 ‘1kg + 449㎍’이 되었답니다.박연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는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오차는 미세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우주과학 등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산업에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어요. 또한 “질량을 이용해 유도되는 힘, 압력 ...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방식으로 시각 분야 인공지능을 구현할 때 주로 적용한다. 대니엘 카스토 박사과정 연구원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인간의 행동을 83%의 정확도로 예측했다”며 “머지 않아 인간의 다음 행동을 예측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알아서 제공하는 인공지능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된다.1 바위에서 샘플 채취로버가 가지 못하는 복잡한 지형에는 사람이 직접 간다. 한 연구원이 험준한 바위 위에 올라 샘플을 채취하고 있다.2 채취한 샘플 연구연구소로 돌아온 대원들이 낮에 바위에서 채취한 샘플을 연구하고 있다. 이곳이 화성이라면 이 순간이 얼마나 설렐까.3 무인기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서늘한 가을이 다가왔다. 가을하면 흔히 독서의 계절이라고 하지만, 독사(毒蛇)의 계절이라고도 한다. 살모사가 독이 오르거나 약이 차서란다. 그런데 이 말이 사실일까. 독사의 대명사 살모사는 왜 독을 지니고 있는 걸까. 독을 가진 파충류에 대해 속 시원하게 파헤쳐보자.겨울잠을 준비하는 살모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말, 바로 “응(Huh)?”이다. 네덜란드 막스플랑크 심리언어학 연구소의 마르크 딩게만세 연구원은 ‘응?’의 발음이나 기능이 전세계적으로 매우 유사하다고 ‘플로스원’에 밝혔다.경영학상 : 경영을 잘하는 CEO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답은 학연도 지연도 아닌, 자연재해에 대한 경험이다. 영국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추적하기 어렵다. 알고리즘도 더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 김종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연구원은 2010년, 칼만 필터를 발전시킨 ‘다이나믹 칼만 필터’로 축구공을 추적하는 방법을 개발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기존 칼만 필터에 몇 가지 매개변수를 넣어 발전시킨 형태다. 예를 들어 영상에서 공과 ...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런 뇌의 활동을 보기 위해서는 장비가 정밀할수록 유리하다.미국 브라운대 이준희 연구원과 서울대 송윤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광유전학기술을 이용해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뇌신경 측정 장비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뇌신경을 자극하고 동시에 신경이 활성화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