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인류는 언제부터 두 발로 걸었을까? 학계에서는 약 500만 년 전 인류가 원래 살고 있던 숲에서 나와 멀리 이동하면서부터라고 추측한다. 험한 지형을 기어오르고 먼 곳까지 바라보기 위해 ... 용수철, 그리고 공기를 압축시켰다가 팽창시키는 힘으로 다리를 구부렸다가 펴면서 점프한다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산업 현장에서도 브릭이 효자~브릭의 가장 큰 장점은 쉽게 결합하고 해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원리는 때때로 산업공학 연구 분야에서 활용하는 핵심 아이디어가 된다.브릭은 산업 현장에서도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요즘에는 대부분 공장을 짓기 전에 컴퓨터 그래픽으로 공장을 미리 ... ...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보여 주지만, 공간지도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한눈에 입체적으로 보여 준다. 여기에는 점, 선, 면으로 나타내는 물체의 형태와 그 물체의 부피나 둘레, 강도 같은 특성이 포함된다. 데이터에 위치정보를 더하다사람이 주로 생활하는 땅 위 물체의 위치는 위도, 경도 같은 2차원 데이터로 충분히 ...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장면으로 본 것이다. 측정 결과, 뇌파의 활성도는 두 장면에서 모두 치솟았다. 특이한 점은 강도였는데,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에서 평균적으로 1.09배 높았다. 전조 장면을 볼 때와 큰 차이가 없었다. 뇌파의 변화 양상도 유사했다. 즉, 귀신이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장면이나 전조 장면이나 우리의 뇌는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31.6%, 샐러드는 43.5%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쿡방의 또 다른 매력은 마술쇼 같다는 점이다. 피가 뚝뚝 흐르던 섬뜩한 고깃덩이가 여러 가지 화학작용을 거쳐 먹음직스러운 스테이크 요리로 변신하는 게 바로 요리다. TV는 이런 마술쇼를 펼치기에 최고의 전달 매체다. 제작진들은 시각과 청각을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수비에서도 다이빙 캐치를 하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수비수보다 공이 떨어지는 지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해 안정적으로 공을 처리하는 선수를 기용할 수 있다. 가장 발이 빠른 주자를 선택해 대주자로 내보내 승부를 뒤집을 수도 있다. 지금껏 야구 해설자들이 감으로 이야기하던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반사된 뒤 모두 초점으로 향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포물선의 초점에서 나온 빛은 포물면에 반사돼 포물선의 축에 평행하게 멀리 잘 뻗어나갈 수 있다.우여곡절 끝에 세상에 알려진 전파천문학은 후대의 과학자, 수학자가 정리하고 발전시켜 지금은 우주 공간 곳곳을 연구하는 데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기록에 따르면 조선시대만 해도 300종이 넘는 재래닭이 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재래닭은 사실상 멸종했습니다. 그 빈 자리를 채운 건 레그혼, 뉴햄프셔 같은 외국 닭이었죠. 재래닭은 몸에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어 튀기면 질겨집니다. 조상님들이 백숙처럼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뇌의 영역만을 찍은 영상도 만들 수 있게 됐지요.단점도 있어요. 지금까지 개발된 MRI 해상도는 최대 1~3mm예요. 하지만 신경세포를 관찰하려면 해상도가 수nm(나노미터, 10-9m)까지 좋아야 하지요.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뇌지도를 완성하기 위해 해상도가 더 높은 MRI를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한다. 멘델이 완두콩에서 현대 유전학의 토대를 다졌듯, 어쩌면 식물의 후성유전적 강점이 후성유전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