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증명서 멘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내고 자율적으로 운영한다. 아무런 강제 조항도 없고 규제도 없다. PC통신 동호회에
참여
하려면 일단 컴퓨터통신 프로그램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하고 통신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 그러나 일단 PC통신에 가입만 하면 자신의 구미에 맞는 동호회를 찾아 마음대로 가입할 수 있다. 멘사도 회원규정을 ... ...
통신 민주주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의사소통은 아예 불가능해진다고 말하고 있다.온라인은 또한 사용자가 얼마든지
참여
여부를 스스로 결정내릴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만약 이같은 사용자의 자유선택권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사용자 전부를 스스로 판단할 능력이 없는 ‘바보’로 여기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 두번째 ... ...
2. 남자기죽이는 사이버여걸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40대의 늦은 나이에 컴퓨터에 입문, 에니악의 뒤를 이어 등장한 유니박(UNIVAC)의 제작에
참여
해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 또한 그는 52년 'A-0'라 불리는 최초의 기계어 컴파일러와 플로매틱(Flow-matics)이라 불리는 최초의 영어 데이터처리 컴파일러를 제작했다.하지만 이같은 사실보다도 그를 최고의 ... ...
오르가슴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산부인과 의사인 마스터즈는 1954년부터 연구를 시작했는데, 심리학자인 존슨은 조수로
참여
했다가 나중에 아내가 되었다.이들은 뜻밖에도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협조한 덕분에 남자 3백12명과 여자 3백82명을 대상으로 성반응을 연구했다. 마스터즈 부부는 측정장치를 부착한 6백94명에게 실제로 ... ...
Ⅰ 포항공대 3가지 자랑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반열에 설 수 있었을까. 그 해답은 학생들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와 일찍부터 연구에
참여
하도록 하는 면학풍토로부터 찾아야 할 것이다.②세계적인 빛공장포항가속기연구소포항공대와 가속기연구소는 뗄래야 뗄 수 없는 비사가 있다. 87년 포항공대가 설립될 때 학장으로 내정된 김호길박사는 ... ...
1. 사이버스페이스는 남녀평등의 사회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추정한다.사이버스페이스에서 남녀평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여성 이용자의
참여
가 더욱 늘어나야 한다. 또 이에 걸맞는 여성 중심의 정보인프라가 꾸준하게 쌓여나가야 한다. 온라인 사회는 세계 여성이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문제를 토론하고 하나로 뭉치기 위한 가장 유리한 공간이기 ... ...
4. 숙취해소 컨디션·아스파·비지니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만들어진다. 섬유처럼 늘어지는 간세포아세트산은 보통 신체의 에너지 대사 과정에
참여
하거나 지방산을 합성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몸이 알코올과 그 대사 산물을 분해하는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만일 과도한 양의 알코올을 마시거나 장기적으로 섭취하면 체내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일어난다 ... ...
2. 중국과학기술대학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설계, 제작, 운전이 중국 자체 기술로 이뤄졌고, 한국의 포항공대 가속기 건설에도
참여
했다” 며 “외국 과학자들이 우리 연구소에 와서 연구하는 것을 환영한다” 고 말했다 ... ...
2. 과학탐구토론대회 새로운 공룡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독창적인 생각들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그저 학자들의 학설에만 의존해 발표했던 점이
참여
자에게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주제가 비슷한 팀들이 많아 흥미를 가지고 주의깊게 듣기에는 지루한 면이 있었다. 끝으로 이런 대회가 전국단위의 대규모 토론 대회로 열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 ...
고등과학원 개원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고등과학원이 오는 10월 홍릉 옛 과학기술원 자리에서 정식 출범한다. 고등과학원은 우리나라의 기초과학 분야를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하고 노벨상에 도전할 ... 화학교수), 필즈메달 수상자인 애플림 젤마노프(예일대 수학교수), 피터 김(MIT 생물학교수) 등이
참여
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