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사용하기 때문에 형틀만 바꾸면 중형 및 대형렌즈로 쉽게 만들 수 있다. 렌즈의
크기
는 받아들일 수 있는 빛의 양을 의미하기 때문에 렌즈가 클수록 어두운 물체를 잘 볼 수 있다. 다만 아직은 형상기억합금의 동작 속도가 느리고 제어가 어렵다. 초점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구동부를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지만 원래 공장에서 쓰는 방식이다 보니 그 단점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집게의
크기
와 모양에 따라 잘 잡을 수 있는 물건과 그렇지 못한 물건이 나눠지는 겁니다. 반도체 공장에서 쓰던 로봇팔을 타이어 공장에서 쓸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마루Z도 이 집게손으로는 토스트 굽기 이외에 ... ...
숫자행렬 단추 퍼즐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갖고 놀 필요는 없잖니?”문제7이 문제를 3차원으로 확장시켜보자. 3×3×3
크기
또는 m×n×r
크기
의 ‘숫자건물’에 숫자를 배열할 때 지금까지 연구해 온 문제는 어떻게 논의될 수 있을까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지푸라기를 둘둘 만 뒤, 새끼줄을 친친 감아서 만든 둥그런 공이었다. 지오는 같은
크기
의 지푸라기 공 두 개를 양손에 들더니, 사람들을 향해 소리쳤다.“자, 여길 한번 보세요. 제가 재미난 걸 보여드릴게요.”사람들의 눈길이 일제히 지오를 향했다. 달포 아저씨도 의아한 표정으로 망치질을 멈춘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로 본다. 이들은 모두 사람과 함께 사는 가축으로
크기
와 달리는 속도에 따라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많은 학자들은 페르시아의 파치시가 중앙아시아를 거쳐 인도의 파치시(사진)로, 중국으로 들어가‘저포’로, 이것이 우리나라로 와 ‘윷’이 됐다고 본다. 하지만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진행되는 분야이다.특히 상온에서 다강성을 띠는 물질을 찾는다면 응용가능성이 무척
크기
때문에 필자의 연구팀도 현재 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머지않아 산업계에 실제로 응용되는 다강체 소자가 출현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필자를 비롯한 한국의 물리 학자들이 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 ...
다세포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나타난 다세포생물은 세포가 5개인 털납작벌레(Trichoplax adhaerens )다. 아메바처럼 생겼으며
크기
가 0.5mm 정도인 바다생물이다. 이 생물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사람과 비슷한 방법으로 적응한다.사람은 높은 산처럼 대기 중 산소 비율이 낮은 곳에 가면 ‘산소 감지 시스템’을 가동한다. 산소 감지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0억분의 1m)
크기
로 파인 작은 흠집이 빛을 반사되지 않고 산란하게 만들었다.5nm정도의
크기
로 솟아있는 노란줄무늬는 각각이 견고히 엮여 있었고 산란된 햇빛을 흡수하는 역할을 했다. 플로트킨 교수는 “노란줄무늬에 있는 ‘잔소프테린’이라는 색소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처럼 빛을 ... ...
과학동아가 확 바뀝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눈부심이 적어 글자를 읽기에도 훨씬 편합니다.둘글자 를 키웠습니다본문 기사 글자
크기
를 키워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기존보다 시원하게 기사가 눈에 들어올 것입니다. 대신 행간은 조금 줄여 기사량은 줄어들지 않도록 조정했습니다. 표지 제목도 키워 한 눈에 어떤 기사인지 알 수 있도록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정도가 지나면 부식이 심해지므로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특히 이순신 장군 동상처럼
크기
가 큰 동상은 중심을 잡지 못하면 큰일이므로 꼭 필요한 과정이다.버팀재는 동상이 놓일 기단부에 뚫린 구멍과 연결된다. 전에는 기단 위에 동상만 단순히 올려놓은 상태였다. 만일 지진이라도 나면 무게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