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큰"(으)로 총 6,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 산성화란 무엇일까?기사 l20201209
- 산소를 공급하는 산호들이 죽으면 바다에 산호가 줄어들어 물고기도 살기 어렵고 지구 전체의 산소 공급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정말 큰 일이죠? 우리가 바뀌지 않고 그대로이면 이런 끔찍한 상태가 계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도 우리가 사는 곳은 깨끗하고 아름답게 지킵시다. 이상 진예인이였습니다 ... ...
- (2020년 12월 8일 기준) 최대급 크기를 자랑하는 항성 5기사 l20201208
- 항성입니다... 오늘 2020년 12월 8일 기준으로 제일 큰 별 5개를 알려드렸습니다. 하지만 밝혀지지 않은 별들 중엔 이 별보다 더 큰 별이 있을 거라는 사실!! 우리가 먼지도 안 되는 존재다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참 고마운 존재라고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분도 천문학에 관심이 생기셨나요?? 이상 김현 ...
- 도용_ 0.2 - 도용의 시작포스팅 l20201208
- 그거 알아? 내가 너한테 전번 원했던거 ㅋㅋ 너 도용이지? 그 얼공 말이야^^ 니 얼굴 아니잖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하늘이는 큰 충격을 먹었다 이..ㅇㅣ걸 어떻게... 그리고는 천천히 답장을 썼다 " 아니야 .. 혹시 오해한거 아니야? 진짜로 아닌데.. " 소심하게 답장하자마자 바로 린아에게서 또 답장이 왔다 " 거짓말 ...
- 서삼릉에 다녀오다!기사 l20201208
- 나무를 날쌔게 타고 다니는 모습이 귀엽기도 하고 신기했습니다. 다른 관광객 분들도 신기했습니다. 동생과 다른 어린 친구들이 큰 소리를 지르고 청설모를 쫒아서 오래 보지는 못 했습니다. 순식간에 높은 나뭇가지 위로 휘리릭 달아나버리더라구요. 여러분도 서삼릉에 가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자랑스럽기도 하고 ...
- 이런 광고도 있다고!아주 재밌고 기발한 광고 10기사 l20201208
- 같은데요.진짜로 잠이 잘올것 같네요. 9.당신에겐 작은 틈이지만... 중국의 공익광고 같은데요.나에겐 작은 틈이지만 장애인 에겐 큰 틈일 수 있습니다 생각해 보면 작은 틈이 있어 건너기 불편할 것 같네요. 10.빙하?아니 비닐봉지 언뜻보면 빙하 같지만 사실은 비닐봉지입니다.아니면 약간 빙하가 녹아서 홍수가 난 것 같기도 합니다. 이 광 ...
- 팩맨 한 번 키워보세요!!!포스팅 l20201208
- 영양가가 많이 들어있고, 소화도 잘됨. 먹이반응 최고! 핑키~퍼지:냉동 쥐 인데요... 징그럽기는 해도 보다보면 괜찮더라고요... 성장에 큰 도움이 된데요!!! 향어:가격대도 낮고, 사육장 더럽지도 않게 되요. 먹이반응 괜찮대요. 팩맨푸드:물과 4:1정도로 섞어, 반죽을 해서, 덩어리째로 먹여야 해요. 먹이반응 좋은 편. 물론, 사람처럼 비타민 ...
- 아니 이건 좀 심하네여포스팅 l20201207
- 아니 제가 원래 이런 글은 안 올리지만 이건 심하네요. 다른 분들은 차라리 누가 그렸는지도 모르지만, 그것도 큰 도용죄에요. 근데 이분은 저희 어과동 작가님 그림을 도용하셨잖아요. 사과문 부탁드려요. ...
- 우리나라에김치,중국에 파오차이는 무슨 차이가있을까?기사 l20201207
- 오류로 인하여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원본 이미지가 삭제되어 이미지를 불러올 수 없습니다. 뷰어 내 로딩이 불가능한 큰 사이즈의 이미지입니다.안녕하세요.김지율기자입니다.오늘은 중국에 김치,한국에 김치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근데 왜? 중국 김치일까요?중국은 11월29일 중국에 절임채소인 파오차이를 국제표준화기구 ISO에 중국김치를 국제 ...
- 지구상 존재했던 가장 포악했던 육식공룡 TOP 5기사 l20201206
- 수각류인 스피노사우르스는 `가시 도마뱀`아란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여러분도 알고게시는 분들이 많으시겠지만 가장 큰 특징은 등 위로 부채모양의 돛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등뼈가 길어지면서 생긴 돛은 체온 조절과 다른 공룡에게 위협적으로 느낄 수 있게 몸을 더 크게 보이는 기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몸의 길이는 12~20톤, 즉 백악기의 ...
- 우리가 쉽게아는 태양과 행성을 더 파해쳐 보자!!!!!!!기사 l20201204
- 물질을 끌어당겨, 중심 부분의 큰 덩어리와 그것을 둘러싼 가스덩어리가 생겨났습니다. 이렇게 원시 태양계가 탄생한 거에요. 중심의 큰 덩어리가 태양이 되었고, 주위를 돌던 가스와 먼지들이 충돌하고 서로 뭉쳐 행성이 되었어요. 여기까지 태양과 행성에 관한 기사였습니다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