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술로 다시 태어난 과학재능 기부
과학동아
l
201210
메시지와 연동시켜 빔프로젝트로 스크린에 쏜다. 참여자가 문장을 쓸 때마다 해당
사람
의 실루엣이 뜨는 식이다. 이들이 군중이 돼 스크린을 메우는 사이,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의 그림자가 더해진다. 과거와 현재,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한 데 모인다.황 교수는 “’10월의 하늘’이 참여자의 삶에 ... ...
생활 속 유해 화학물질 “직접 먹고 몸에 발랐어요”
과학동아
l
201210
생각하는 보통
사람
들이나 환경운동가들이 이 책을 봤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좀더 많은
사람
들이 편리한 일상 속에 숨은 환경문제를 알고, 그게 건강과도 직결된다는 사실을 이해했으면 해요. 변화를 가져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우리가 그랬듯이요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10
합니다. 다시 말해 4대가 공존해야 하죠. 그런데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어떤
사람
들은 칠순이 되도록 증손자는커녕 손자를 보기도 힘듭니다. 예전에 비해 결혼과 출산 연령이 올라갔기 때문입니다.100세 시대가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인류는 여전히 3세대가 같은 시대를 사는 후기 구석기 ...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다
과학동아
l
201210
개방하고 실제로 컴퓨터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직접 강의를 했다. 지원한
사람
을 대상으로 하는 강의였다. 강의가 시작되자 교수님은 “이 강의는 실습이 매우 많을 것”이라며 “각오하고 수강하라”는 말을 했다. 그 이후 1년 동안은 방학도 없이 같은 과 친구들과 함께 ‘나만의 컴퓨터’를 ...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
과학동아
l
201210
본 바와 같이 의과대학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인성과 학업능력이다. 의사는
사람
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의 특성상 근본적으로 인간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고 있어야 한다. 봉사와 배려, 희생의 가치관을 함양해야 한다. 집중력과 지구력을 바탕으로 한 학습능력도 길러서 독자 여러분이 ... ...
GMO, 무조건 나쁜 것이다?
과학동아
l
201210
않다. 언론 기관은 이런 GMO의 부정적인 면만을 부각시켜서 보도해왔기 때문에 현재 많은
사람
들이 GMO를 떠올리면 먼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중략…) 그러나 생물안전의정서(The Caragena Protocol on Biosafety)라는 국제 협약에 의해 그 안전성이 검증된 GMO만 유통되도록 규제하고 있으므로 ... ...
[10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10
싶은 이야기를 쓰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는 얘기다. 다시 말하자면 어떤 내용을 읽는
사람
에게 전달할까를 고민하는 것은 기사의 시작이자 끝일 정도로 중요하다. 이번호에 선정된 과동 choice와 과동 pickup은 모두 지난 8월 초 열린 청소년기자 임명식과 농촌진흥청 GMO 관련 체험 및 취재활동 후 작성한 ... ...
생각으로 조정하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0
과학자들은 이 로봇이 몸이 불편한
사람
을 도와 주는 것은 물론, 위험한 작업장에서
사람
대신 일을 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어요. 여러 생각을 떠올리거나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하지 못하면 로봇을 제대로 조종할 수 없거든요 ... ...
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빠나나 박사 이기진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0
장난감은 교수님이 직접 모으신 건가요?여기저기 여행 다니면서 사온 것도 있고, 친한
사람
들이 선물로 준 것도 있어요. 인형과 장난감을 보고 있으면 여러 아이디어가 샘솟아요. 깡통로봇들은 제가 만든 거예요. 냉장고만한 몸체와 세탁기 같은 머리통이 보이죠? 이 거대 깡통로봇은 제 딸 채린이(CL ... ...
홍합으로 망가진 뼈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0
비결은 바로 본드처럼 끈끈한 접착 단백질 덕분이에요. 우리가 분비하는 접착단백질은
사람
들이 지금까지 발견한 어떤 접착제보다도 단단해요. 게다가 물에 젖을수록 점점 더 강력해진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접착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대장균에 넣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접착제’를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