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자료를 분석하면 이를 풀 수 있을 것이다.아카쓰키의 또 다른 임무는 금성의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는 것이다. 금성에는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이 1000곳이 넘게 있다. 비너스익스프레스는 금성에서 지표의 연령이 최소 250만 년 이하인 ‘젊은’ 지역과, 화산활동으로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추정할 수 있고, 신축 중인 경수로와 그 아래 건축물이 중성자를 배출할 수 있는 시설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북한에 풍부한 리튬의 동위원소인 리튬-6에 경수로에서 나온 중성자를 쏘면 삼중수소를 만들 수 있다. 과정은 간단하지만 이때 나오는 대량의 에너지를 조절하고, 삼중수소를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못한 과제들김 교수는 익사인지 아닌지 가릴 방법을 찾기 위해 수년간 골몰했다. 그가 가능성을 본 건 플랑크톤이었다. 해외 논문을 뒤져보니 익사체의 장기에서 플랑크톤이 발견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비익사체와 구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플랑크톤을 장기에서 분리하기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륙이 어렵지 않다.익룡과 새의 극단적인 몸집 차이는 이 두 생물의 평화로운 공존을 가능하게 했다. 초대형 익룡이 등장한 백악기의 새들은 모두 몸집이 작았다. 이들은 물가에서 잠수를 하거나 나무 위에서 살며 열매나 씨앗을 먹었다. 반면 대형 익룡들은 해변이나 내륙을 어슬렁거리며 작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금에 와서 그 문제는 무의식 수준으로 외면당하고 있었다. 더 현실적인 문제, 거주 가능한 행성 및 자원의 확보와 우주 전쟁이 더 급하기 때문이다.나는 절전 상태에서 깰 때마다 그런 사실을 상기해야 했다. 그러지 않으면 사람이 살지 않는 고급 휴양지에서 눈을 뜬 것 같은 안락함에 빠지기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하는 인터넷 암호체계 RSA가 무너져 혼란이 야기될 거라고 말한다. 이게 실제로 가능할까? 리만 가설의 미래를 점쳐본다.리만 가설은 참일 수도 있고, 거짓일 수도 있다. 초창기에는 거짓이라고 주장한 수학자가 더러 있었다. 영국의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와 존 이든저 리틀우드, 앨런 ... ...
- [News & Issue]GM연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미국의 바이오 기업 ‘아쿠아바운티’는 GM연어를 양식장 안에만 가두고, 생식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생태계 교란을 예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환경단체에서는 GM연어가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반응도 미지근합니다. 월마트를 비롯한 몇몇 ... ...
- [News & Issue]딱딱한 지각판이 ‘말랑’해지는 순간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배열은 판이 생성될 당시에 굳어 정해지기 때문에, 이는 판이 신축성이 있거나 변형 가능해야만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이다. 와그너 연구원은 “대륙판 아래에 깔린 해양판이 납작해지면서 판의 일부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구과학’ 온라인판 2015년 11월 2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30년 전인 1986년 1월 과학동아가 처음 세상에 나왔다. 같은 해, 과학자로 첫 발걸음을 뗀 이들도 있었다. 카이스트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대(KIT)는 1986년 첫 번째 학부생을 모 ... 과학동아도창간호(1986년 1월호)에서 ‘생각하는컴퓨터, 가능한가?’라는 기사로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짚었다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중추를 자극해 이를 감추려 할 수도 있다.핵기술의 발전이 핵전쟁으로 인한 인류 멸망의 가능성을 열었듯이, 광유전학 기술 또한 끔찍한 디스토피아를 불러올 수 있다. 우려스러운 상황을 막고 광유전학이 인류의 미래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선 기술적 발전뿐만 아니라 이 기술이 미칠 영향에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