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의 주목을 받았다. 삶의 활력소가 된 캘리그래피김상미 선생님이 캘리그래피를 시작한 건 2011년이다. 경기도 우수교사로 뽑혀 서울대에서 1년 동안 수학 수업 관련 연구를 하고 논문지도를 받기로 했던 때다. 주변의 부러움을 샀지만, 막상 책과 논문에 파묻혀 지내다 보니 여유가 없었다. ‘이렇게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방울토마토를 다시 재배하기 시작했어요. 우리나라에서 처음 방울토마토를 재배한 건 1986년이에요. 하지만 당시 사람들은 생소한 방울토마토를 거의 사먹지 않았어요. 그러다 점차 인기를 끌기 시작했고, 1995년에는 방울토마토 재배 면적이 일반 토마토 재배 면적의 3배 이상이 될 정도로 인기가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진짜 아끼던 컵 손잡이가 깨졌을 때, 지갑이 찢어졌을 때, 우린 모두 ‘이것’을 찾는다. ‘이것’만 있으면 감쪽같이 원래대로 물건의 상태를 돌려놓을 수 있 ... 넘어 범죄 수사와 의료 분야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런 활약이 가능할 수 있었던 건 분자의 무한한 가능성 덕분이 아닐까 ... ...
- [생활] 대구 대명중 김동우 선생님 친구와 함께 걷는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수학을, 입시와 성공을 위해 억지로 하다 보니 생기는 당연한 결과였죠. 더 마음 아팠던 건 아이들이 자는 친구를 내버려 두라고 하는 모습이었어요. 깨우면 자기 공부에 방해만 된다는 거였죠.”선생님은 새로운 수학 수업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수학교사 모임 ‘Do Dream(두드림)’과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받는 이론이었다. 맞는지 틀 린지도 모르는 이론으로 논쟁적인 문제를 설명한다 는 건 쉬운 선택이 아니었다. 하지만 모든 영웅이 그렇 듯, 플랑크는 용감했다. 플랑크는 빛의 에너지를 진동 수의 정수배로 나타냈다. 이 때 진동수를 에너지로 바 꿔줄 플랑크 상수(h)를 도입했다. 진동수는 파장에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매우 크기 때문에 허블보다 1000배나 높은 집광력과 분해능을 자랑할 것으로 보여요. 이건 무려 지상 4만km 높이에서 지표면에 있는 토끼 한 마리까지 볼 수 있는 성능이에요.NASA와 콜로레도대 연구팀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아라고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아라고가 완성되면 허블이나 제임스 ... ...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연구팀은 지금까지 전 세계 지진관측소에서 기록한 진도 5.0 이상인 지진 3000건을 분석했습니다. 지진관측소는 지진파가 만드는 세밀한 진동을 기록합니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이용해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지구 표면과 지구 중심 사이에 있는 맨틀(깊이 30~3000km)의 구조를 보여 주는 정확한 3차원 ... ...
- 옛날 옛적 말레이시아에…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수 있을까?지구에 떨어진 스톰트루퍼자히르 바틴이 사진을 본격적으로 찍기 시작한 건 불과 6년 전의 일이다. 바틴의 본래 직업은 말레이시아 슬랑오르 주립대의 교직원이다. 6년 전, 우연히 프로 사진작가인 친구의 권유로 시작한 사진 찍기가 평범했던 그의 인생을 바꿔 놓았다. 사진은 이제 그의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TV 속 요리사는 뚝딱 뚝딱 맛있는 작품을 만들어냅니다. 레시피만 보면 나도 똑같이 만들 수 있을 것만 같죠.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분명 그대로 따라했는데, 맛도 모양도 ... 건 결코 허풍이 아닙니다. 매일 먹는 카레가 아니라, ‘조합의 맛’ 인도식 커리에 도전해 보는 건 어떨까요 ... ...
- [수학뉴스] 유전자도 꿰어야 보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얽혀 있는 세포조직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의미있는 일입니다. 몸이 자라거나 아픈 건 세포조직의 일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살아 있는 조직을 떼어내 실험하기는 매우 힘듭니다.미국 사이먼 정보 분석센터 연구팀은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유전자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있고 무슨 반응이 ... ...
이전3533543553563573583593603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