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라
국민
민족
겨레
세상
정치적 통일체
공화국
d라이브러리
"
국가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매구 크다고 하겠다. 전자공학의 여파는 가정은 물론이고 사무실 공장 나아가
국가
전체의 전산망에 이르기까지 미칠 전망이다. 주요분야로는 △ 가전제품 △ 반도체 △ 컴퓨터 △ 각종 자동화 장치 △ 소프트웨어 △ 통신 △ 생활정보서비스 등 다양하다. 전자공학 관련학과는 이공계대학 거의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특히 그들은 신의 가호가 있기를 끊임없이 기원하였다. 승려뿐 만이 아니다. 절대군주
국가
의 왕들도 심정은 마찬가지였다. 연금술을 통해서 만들어진 금으로 군비를 강화하고 침략전쟁을 일으켜 국토를 넓히려 하였다. 영국의 제임스 2세는 그 좋은 예이다. 그는 궁중 한 곳에 실험실을 마련해 놓고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혁신적인 일을 해왔다고 자부합니다." 단일 연구기관으로, 국내에 경쟁상대없이, 그것도
국가
재정의 지원으로 움직이면서 '나태'를 보이기 커녕 선구적업적을 쌓고 있다는것은 켤코 범상한일로 보이지 않는다. 직업윤리라는 말이 새삼 연상 되기도 했다. -끝으로 자신에 대해 소개해 주시죠. 이름도 ... ...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11개국이 이 협정을 비준한다고 가정하고 89년 1 월1일에 효력을 발생하게 되어 있다. 참여
국가
들은 1990년 7월까지 CFC의 소비량을 1986년 수준으로 동결하는 한편 CFC의 생산량을 86년수준의 최고 110%로 제한하기로 되어 있다. 그런데 냉동시설의 냉매와 해면모양의 플라스틱을 만드는데 주로 쓰이는 CFC는 ... ...
오존층 파괴 방지조약 체결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지상의 생명이 멸절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지난해부터 심각히 제기되기 시작했다.일부
국가
의 정부에서도 '오존층 파괴는 핵전쟁보다도 무섭다'는 인식이 깊어지기 시작, 드디어 지난 9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49개국 대표가 모여 오존층보호에 관한 조약에 서명했다.조약내용은 냉장고, ... ...
영국의「앨비계획」책임자 브레인 오클리씨 Brain Oakley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정보산업기술의 우열에 따라 국력이 좌우될 전망이다. 다시 말해 선진국이 되려면, 아니
국가
간의 경쟁에서 살아 남으려면 정보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개발이 절대적으로 요청된다 하겠다. 이런 의미에서 앨비계획(Alvey Programme) 이라는 야심적인 정보산업진흥책을 수립, 실시하고 있는 영국의 노력은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1976년 이교수가 처음으로 이 원인모를 괴병의 병원균을 발견할 때까지 미국 소련 유럽
국가
등에서는 과학자 수백명을 동원, 연구하였으나 병원체분리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출혈열연구의 메카-많은 나라에서 수많은 연구원과 막대한 연구비를 동원해 이 병에 대한 연구를 했다고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이틀간이나 공표하지 않고 숨겼다. 그것은 핵누출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소련이라는
국가
의 명예가 중요하다는 안이한 국수주의자들의 비인간적인 발상에 따른 것이었다.이와는 달리 체르노빌 핵누출사고를 처음으로 감지해낸 스웨덴국립방사선연구소는 스웨덴 동쪽해안에 내린 빗물에 ... ...
첨단기술에 진입한 느낌 내실있는 전시 주목할만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모델이라고 보겠다.특히 이번 전자전은 앞으로 다가올 88년 올림픽 경기를 개최하는
국가
로서 첨단 과학의 현황을 보여주지 않았나 하겠다.그중 음성다중 다이얼 전화기와 문자 TV 방송 시스팀 개발등은 얼마전에 참가해 본 일본 데이타 쇼에 뒤지지 않을 만큼 최첨단 기술을 알게해 준 것이다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아뭏든 공부 잘하는 학생들에게는 너무 인기학과를 따지지 말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국가
적으로도 우수한 인력이 몇 군데로만 몰린다면 손실이 초래될 것입니다. 따라서 너무 인기학과에 집착하지 말고 남이 안하는 분야를 공략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정-남이 무어라든 자신이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