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진행하는 팀도 있다.그런데 이런 연구들은 대부분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컴퓨터가
대신
하도록 하기 위해서 고안됐다. 이런 종류의 연구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지만 불도저를 아는 건축가는 더 큰 건축물을 상상하는 법이다. 컴퓨터로 인해 예술가는 새로운 음악의 장르를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그리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기술력과 제품의 경쟁력을 판단하기 위한 이공계 지식이 필수 요소가 됐기 때문이다.
대신
증권에서 통신장비 업종을 맡고 있는 김강오 애널리스트는 재료공학 석사과정까지 마친 정통 엔지니어다. 98년 대학원을 졸업한 후 시스템설계 전문업체인 SK C&C에서 근무하다가 애널리스트로 변신했다.“지금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새로운 뇌 손상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신경세포
대신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신경교세포(glial cell)를 없애는 실험이다. 신경교세포를 일부만 제거하면 신경세포는 남아있지만 부작용 없이 시냅스를 차단할 수 있는데다 원 상태로 복구도 가능하기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걸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때 뇌의 청각피질이 다시 일을 수행하는 것 같지는 않다.
대신
이식수술 후 시각피질의 일부로 시각적 움직임을 지각하는 V5 영역의 활동이 향상될수록 언어청각능력 회복이 크다.청각피질은 난청 초기에는 자극이 없어 잠들었다가 난청기간이 길어지면 무언가 다른 일에 ... ...
악수 한 번도 안하는 방법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정치인 3명을 찾을 수 있을까?A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바꿔 생각해 보자. 정치인 6명
대신
평면에 점 6개를 표시한 다음 각 점을 실선과 점선으로 연결하자. 서로 악수한 경우를 실선으로, 악수하지 않은 경우를 점선으로 그린다고 하자.세 점 A, B, C를 아무렇게나 고른다. 만약 이 세 점이 점선으로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분화시킨 다음 몸에 넣어 주면 신경세포는 척추의 상처 부위에 들어가 손상된 세포를
대신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마비되었던 하반신을 다시 원래처럼 쓸 수 있게 된다.당뇨병 |인슐린 분비세포피 속의 혈당이 높아져서 무서운 합병증에 걸리게 되는 당뇨병. 당뇨병 환자는 혈당 생성을 막는 ... ...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식물에게 필요한 대부분의 물질은 흙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대신
수양버들이 물에서 모든 영양분을 얻는다는 결론을 내리고 말았다.영국의 화학자였던 조셉 프리스틀리는 밀폐된 용기 안에 촛불을 넣어 두면 결국 촛불이 타서 꺼져 버리지만, 나뭇가지를 그 용기 안에 넣어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IT기술과 가장 활발하게 결합하고 있는 액세서리. 미국 댈러스세미컨덕트는 열쇠를
대신
할 전자열쇠의 형태로 반지를 선택했다. ‘자바링’으로 불리는 이 반지에는 암호를 담고 있는 칩과 통신 장치가 들어있어 디지털자물쇠를 열거나 암호를 걸어놓은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지름 16mm ... ...
3. 수학은 돈 버는 여의봉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찾아 낸 요인들을 토대로 종목을 선정한 뒤 자신의 투자자금을 한 종목에 모두 투자하는
대신
‘마코위츠의 분산투자 이론’에 근거해 투자를 했다고 한다. 마코위츠는 투자에 위험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공을 인정 받아 1990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흔히 ‘포트폴리오 선택 이론’이라고도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매주 10시간 가르친다. KAIST 영재교육원에서 이 학교로 부임해 온 그는 수업 부담이 적은
대신
학생들 논문 지도나 수업 준비, 연구 등으로 늘 바쁘다.“우리 학생들은 과제에 대한 집착과 문제를 해결하려는 욕구가 특히 강합니다. 어떤 문제든 주어지면 풀어내고 말죠. 고3이면 석사과정 학생들처럼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