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같은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보고파일 이번 총회의 연구 달인은 바로 나!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의 스반테 파보 박사는 화석에서 DNA를 추출하는 기술의 세계 1인자이다. 파보 박사는 이번 연례총회에서 멸종한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3분의 2 복원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전세계의 주목을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출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 노벨상에 근접해 있다는 프랑스 광응용
연구소
(LOA) 제라 드 무루 소장은 지난해 11월 3일 극초단 광양자빔 특수연구 동 준공식에 참여해 이곳 시설을 부러워하는 축사를 했다.무루 소장의 부러움을 샀던 이유는 바로 특수연구동에 극 초단 광양자빔을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강한 애정 때문이었다. 실제로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벨
연구소
, 삼성전자처럼 비교적 보통 사람의 삶에 바짝 다가선 연구를 하는 조직에 몸을 담았다. 나노기술을 이용한 소자개발에 매진하는 현재의 연구도 비슷한 흐름에 있긴 마찬가지다. 하지만 무엇보다 지금의 ... ...
[생물]좌뇌와 우뇌를 잇는 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가고, 왼쪽 시야에 있는 시각정보는 오른쪽 뇌로 간다. (다) 1968년 미국 캘리포니아 기술
연구소
의 로저 스퍼리 박사는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이 절단된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다음 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환자의 눈앞에 스크린을 준비하고, 영사 장치를 통해 환자의 오른편 화면에 칼을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홀 효과양자 홀 효과는 이미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두 번이나 배출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폰 클리칭 박사는 양자 홀 효과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로렌츠 힘 때문에 전자들은 반도체 소자의 한쪽 가장자리로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독립성이 있지만 홀로 살 수는 없는 공생체인 셈이다. 미국 비겔로 해양과학
연구소
선임연구원인 윤환수 박사는 미국 아이오와대 생물과학과에서 연구하던 2006년 시아넬의 게놈 일부를 분석해 놀라운 결과를 얻어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윤 박사는 시아넬 게놈의 유전자 배열이 엽록체 ... ...
발명의 어머니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섬유)를 발명한 이도 여성 화학자 스테파니 퀄렉(1923~)이다. 산업
연구소
의 효시가 된 GE
연구소
에 여성으로는 처음 고용된 캐서린 블로제트(1898~1979)는 박막 필름 코팅을 발명하는 성공을 거두었다. 컴퓨터 분야에서도 영국의 낭만파 시인 바이런의 딸 에이다 러브레이스(1815~1852)는 최초의 컴퓨터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가스가 잔류하지 않아 유물을 안전하게 수장고로 옮길 수 있다.오 학예사는 문화재
연구소
의 요청에 따라 훈증실 제작 자문위원과 입찰 업체 기술 심사위원도 맡았다. 문화재 훈증소독과 관련된 노하우 전수에 나선 것이다.오 학예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대부분 국공사립박물관에는 제대로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조류의 영양분이 부실해져 생태계가 교란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네덜란드 생태
연구소
(NIOO-KNAW)와 암스테르담대 연구진은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늘면서 미세 조류가 크게 번식하고 있지만 이들의 영양학적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고 네덜란드 과학연구기구(NWO)에 제출한 자료에서 3월 14일 ... ...
[생태학]냄새 기억해 귀가하는 사막 개미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자기가 지나온 곳의 냄새를 기억하고 길을 찾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빌 한슨 연구팀은 사막에 사는 ‘카타글리피스 포티스’(Cataglyphis fortis)라는 개미가 보통 개미와 달리 냄새를 학습해 집을 찾아간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주올로지’ 최신호에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