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63건 검색되었습니다.
5cm 크기 10분 만에 인쇄하는 3D프린터 개발
2015.03.17
‘데드존(Dead Zone)’이 생긴다. 데드존 위에서는 잉크가 딱딱하게 굳어 버리지만 데드존
아래
잉크는 여전히 액체상태다. 데드존이 있으면 잉크를 계속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층을 굳히고 다시 쌓는 과정 없이 연속적인 인쇄가 가능하다. 드시몬 박사는 논문에서 “5cm 크기 물건을 인쇄하는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다윈으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현상이었고 결국 다윈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아래
지층에서는 생물이 화석화가 되지 못한 결과라는 궁색한 가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1859년 초판이 나온 뒤 1872년 6판이 나올 때까지 다윈의 고민은 본질적으로 해결이 되지 않았지만 다윈은 조금이라도 ...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피부나 장기 외피의 1~3mm 깊이에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기존 광학현미경으로는 조직
아래
수십 μm(마이크로미터)의 영상밖에 얻을 수 없어 세포 깊은 곳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생체 조직의 박편을 잘라내 관찰해야 했다. 이번에 개발된 CASS 현미경의 경우 내시경에 달면 위암과 대장암 등은 수술 ... ...
목성의 달 ‘가니메데’ 밑에 지구보다 더 큰 바다 숨었다
2015.03.16
발견한 바다는 수심이 지구보다 10배가량 깊은 97㎞ 정도로, 두꺼운 얼음층(약 153㎞)
아래
에 숨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바다에는 L당 5g의 소금이 녹아 있으며 수심이 얕은 연안에는 소금 농도가 10배 이상인 곳도 있을 것으로 NASA는 분석했다. 기존에는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도 바다가 있는 ... ...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절지동물 발견
2015.03.15
먹잇감을 붙잡고 입에 집어넣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데, 새로 발견된 절지동물의 코 바로
아래
에서 커다란 지느러미 2개의 흔적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아에기로카시스는 환상적인 생물”이라며 “이 동물의 생물학적인 구조가 고생물의 진화과정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 ...
장 속 가스 보면 질병 안다
2015.03.13
있는 작은 센서가 들어있다. 센서는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얇은 막으로 덮였고 센서
아래
에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리튬전지가 들어있다. 김태송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기존 캡슐 내시경에서 영상 센서 대신 가스 센서를 적용한 것”이라며 “지금까지 소화기 질환은 주로 ... ...
토성 위성에서 온천 발견, 대서양 심해서 발견된 ‘잃어버린 도시’와 비슷?
동아닷컴
l
2015.03.13
별칭이 붙은 해저온천과 유사한 조건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해수면으로부터 800m
아래
에 위치한 ‘잃어버린 도시’에는 칼슘으로 이뤄진 최고 높이 60m 규모의 깔때기가 해저로부터 솟아 있다. 박테리아와 관벌레, 조개 등 다양한 생명체가 발견됐다. 프랑스 낭트대의 가브리엘 토비 교수는 ... ...
“달 지질구조 생각보다 복잡”
2015.03.13
생성됐다. 또 25억~33억 년에는 마그마가 4차례나 관통했던 흔적이 발견됐다. 지하 240m
아래
지질은 33억 년 이전에 생겨났다. 물이나 바람이 없는 달에서 지구의 퇴적암처럼 층층이 쌓인 지질 구조가 형성된 이유는 운석 충돌과 태양풍 때문이다. 운석 충돌로 생긴 파편들이 중력에 의해 서서히 ... ...
바퀴벌레도 성격이 있다? 실험해보니…
동아닷컴
l
2015.03.12
한 마리의 결정이 다른 것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각각의 바퀴벌레가 불빛
아래
남을 것인지, 쉼터에서 쉴 것인지를 결정하는데도 책임감을 느끼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서열에 따라 움직이는 개미·흰개미 같은 몇몇 곤충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파르나스는 비슷한 행동 ... ...
130인치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상용화 난제 해결
2015.03.10
산업체 공정라인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단점을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아래
에 기판을 두고 위에서 물질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바꿔 기판이 휘어지는 문제를 해결했다. 제작 과정에서 버려지는 유기물질도 80% 이상 줄였다. 이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실제 생산 공정에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