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천
지원군
물자
리소스
자원병
지원병
물품
뉴스
"
자원
"(으)로 총 3,921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빼미 눈’ 아리랑 3A호, 사진 첫 공개
2015.04.14
아리랑 3A호의 점검과 화상보정 작업을 진행한 이후 앞으로 4년간 기후변화 분석, 국토 및
자원
, 환경감시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한강을 중심으로 한 서울 지역 적외선 사진(아래). 적외선 카메라로 살펴본 지역별 온도 차이가 또렷하게 보인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광학카메라로 지상을 0.5m ... ...
[대구/경북]“세계물포럼 전시장은 첨단 치수관리 기술 경연장”
동아일보
l
2015.04.14
있다”고 말했다. 상하수관 청소 로봇도 등장했다. 한국수
자원
공사가 출자해 만든 ㈜수
자원
기술은 사용자가 작업 범위를 정해 주면 낡은 하수관에 들어가 쓰레기를 청소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다듬는 로봇을 선보였다. 다른 장비를 붙이면 상하수관 위험 진단과 누수탐사 재생 등의 작업도 해결할 수 ... ...
앱으로 수돗물 수질 알려주고… 물 새는 곳 감지하고…
동아일보
l
2015.04.09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9월 ‘스마트 워터 시티’ 사업이 시작되고 나서부터다. 한국수
자원
공사(K-water)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첨단 염소주입 설비를 설치한 영향이 컸다. 이 설비는 수돗물의 염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8일 K-water에 따르면 이 지역 주민 약 3만7000명은 수시로 ... ...
“2020년까지 그래핀 핵심기술 85개 확보”
2015.04.07
불리는 그래핀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
자원
부는 ‘그래핀 사업화 촉진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고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완구 총리 주재로 열린 ‘제8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이 방안을 확정했다. 그래핀은 탄소로 이뤄진 육각형 격자형태의 ... ...
“1986년 1월호 과학동아 특집기사는 뭐였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5.04.03
30년간 제작한 동아사이언스의 과학콘텐츠가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높은 국가지식정보
자원
으로 인정받았습니다. D라이브러리는 민간기업 최초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구축된 국가데이터베이스(국가DB)입니다. D라이브러리는 동아사이언스의 잡지 콘텐츠를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결정하는 등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해 2017년까지 기초 탐사에 들어간다. 이윤수 지질
자원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지하 7km 깊이까지 시추공을 뚫어 지하를 면밀히 조사할 계획”이라면서 “1300도가 넘는 액체 상태의 마그마를 직접 꺼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류자치(劉嘉麒) ... ...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수상한 움직임’
2015.04.02
“백두산 현지 탄화목(화산재에 불탄 나무 화석)을 분석한 결과 백두산은 1076년 전인 939년 대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분석 결과는 일본의 역사 기록과도 정 ... 천지 및 지하 10km 인근에 마그마가 있을 것으로 보고 시추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 한국지질
자원
연구원 제공 ... ...
이슬 머금었다 짜내는 동자꽃의 지혜
2015.03.31
“건조한 사막에서도 이슬을 흡수하며 생존하는 자연의 지혜를 이용하면 향후 새로운 수
자원
을 확보할 핵심기술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버려지는 실리콘이 전극 소재로 환골탈태!
2015.03.30
반도체나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를 만들고 나오는 폐기물(슬러지)은 연간 1만 t을 넘는다. 폐기물의 주성분인 실리콘도 폐기물과 함께 모두 버려지는 것이다. 게다가 폐기물에는 ... 마련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폐기물에서 실리콘을 추출하는 방법. - 한국지질
자원
연구원 제공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지하수는 사라지고 있다. 물과 관련한 이상기후로 매해 수만 명이 사망하고, 부족한 수
자원
을 두고 국가 간에 분쟁이 일기도 한다. 먼 나라 이야기라고 안심할 때가 아니다. 한반도가 다음 차례다. 아니, 한반도에도 벌써 무서운 물의 공격이 시작됐다. 몇 해 전까지 한국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