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6,441건 검색되었습니다.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02
유머, 창의적 사상, 종교, 도덕 능력, 과학기술 같은 독특한 특성의 진화를 성선택의
직접
적인 결과라고 해석한다. 이 능력들이 이성을 유혹하기 위한 전략으로 최근 250만년에 걸쳐 진화했다는 주장이다. 성선택이야말로 인간을 인간이게 만든 진정한 추동력이었던 셈이다. 성선택으로 인간의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02
사례에 속한다. NIH 소속 과학자들은 이들 프로그램에 자원봉사자로 참여, 일반인과
직접
만난다. 그 가운데 특히 ‘대중을 위한 의학’ ‘의학영화제’ ‘국립암연구소(NCI) 자원봉사프로그램’ 등은 지역사회 호응이 좋다.NIH 과학자의 성공 사례를 통해 진로상담을 해주는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 ...
전기의 웰빙선언, 직류로 돌아가자
과학동아
l
200502
전력낭비 문제도 해결된다. 교류를 직류로 바꿔주는 충전기가 사라져 휴대전화를
직접
콘센트에 꽂아 충전할 수 있다. 같은 기기를 집과 자동차 겸용으로 사용할 수 도 있고, 배터리를 연결해 정전대비를 할 수도 있다. 전기의 ‘웰빙화’가 이뤄지는 것이다.물론 현재의 교류 시스템을 단시간에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502
수놓은 과학 천재들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쓴 글을
직접
읽어본 사람도 거의 없을 것이다.르네상스 이후 현대에 이르는 500여년의 지식 역사를 대표하는 천재 과학자들의 기록을 담은 책 ‘지식의 원전’이 나왔다. 인체 내부 구조에 대해 몹시 궁금해 하던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02
300배 배율을 보이는 단일렌즈를 깎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닌데, 고운 모래에 손으로
직접
유리를 갈아서 고배율의 렌즈를 만든 레우벤후크의 기술은 불가사의에 가깝다. 더구나 고용된 화가가 레우벤후크의 관찰에 대한 설명을 듣고 남긴 그림들의 놀라운 정확도는 또 하나의 불가사의라고 할만 하다 ... ...
과천에 문 여는 과학 놀이터 -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200502
원하는 전시관부터 골라서 관람할 수 있다.전시관에 들어설 전시물은 대부분 관람객들이
직접
작동해 보고 그 감동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눈으로 훑고 지나가거나 단추 한번 눌러보고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과 전시물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체험형 전시물들이 들어선다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1
NASA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부분 은하의 중앙에는 우리 해보다 질량이 1백만 배~10억 배 더 큰 블랙홀들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블랙홀의 크기가 우리 태양계만한 것들입니다. 신기한 것은 은하가 크면 클수록 중심의 블랙홀도 더 크다는 사실입니다. 우리은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은하여서 그런지 중 ... ...
1. 내가 특수상대성이론을 만들기까지
과학동아
l
200501
자체는 절대로
직접
관찰되지 않는 것이라고들 설명하고 있었다. 에테르가 있다는
직접
경험증거가 없다! 그렇다면 굳이 에테르 개념을 집어넣지 않고서도 전자기 이론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여기까지 생각이 미치자 대표적인 전자기파인 빛에 대한 중요 관찰 사실들부터 점검해야겠다는 생각이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01
‘브라운 운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만약 브라운 운동의 비밀을 푼다면 원자를
직접
보지 못하더라도 원자의 충돌 효과를 보고 원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905년 아인슈타인이 바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브라운 운동을 수학적으로 깔끔하게 풀었다. 그는 작은 입자들의 충돌에 맥스웰의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01
물리의 해’ 한국조직위원회 위원장인 그는 국내외에서 벌어질 행사들을 하나하나
직접
챙겨야만 한다. 김 교수를 만나 올해 행사 얘기를 들어봤다. ‘물리의 해’행사는 어떻게 시작됐나4년전 유럽의 물리학자들이 모인 한 자리에서 2005년을 물리의 해로 기념하자는 제안이 처음 나왔다. 20세기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