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06
하다.이 대학은 특히 과학분야가 강해 세계적인 대과학자들을 배출했는데 그중에는
최초
로 생물분류를 체계화한 린네(Linne)와 섭씨온도를 착안한 셀시우스(Celsius), 화학원소중 산소(O)와 염소(Cl)를 발견한 실레(Scheele), 임파선을 발견한 루드벡(Rudbeck) 등이 있다. 웁살라대학 출신의 노벨상 수상자도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06
학교가 설립됐고 이어 1747년 토목학교가 설립돼 기술자를 양성해냈다. 이들 전문학교는
최초
의 기술학교들이기는 하나 종합적인 기술교육이 실시된 것은 에콜 폴리테크니크가 설립된 이후다.독일에서는 18세기 말 괴팅겐 대학의 베크만이 기술학을 체계화하기 시작하여 19세기 중반에 와서 ... ...
색을 구별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199106
발표한 바 있는 스웨인은 이 로봇팔이 오직 색상을 통해서만 물체를 인식하는
최초
의 로봇이라고 주장했다.실제로 지금까지 로봇은 특정한 모양을 보고 원하는 물체를 찾아 왔다. 즉 어떤 물체의 모양과 위치를 3차원 공간의 좌표로 프로그래밍해서 로봇에게 미리 인식시켰다. 그런데 옷과 같은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06
세계 물리학계의 석학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아 '한국인
최초
의 노벨상감'으로 기대를 한몸에 모으고 있었다. 그런 과학자가 한창 연구할 42세의 아까운 나이에 미국땅에서 급작스런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 것이다.이휘소의 사망소식이 보도된 이후 항간에는 그의 죽음을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06
관측되기도 했다. 이것은 1936년에 예언됐던 아인슈타인의 이른바 원환의 존재를 밝힌
최초
의 증거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천문학자들은 이렇게 중력의 작용 때문에 생긴 여러 개의 상이나 원환 또는 타원환을 우주의 신기루라고 부르고 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은 그 이론의 증거를 반세기를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06
아폴로 신(태양신)과 코로니스라는 여신 사이에서 태어난 매우 영리한 아들로 훗날 인류
최초
의 의사가 된다. 그의 의술이 얼마나 뛰어났던지 죽음의 통제자이며 지옥의 왕이었던 하데스 신은 몹시 당황해 아우인 제우스 신에게 아스클레피오스가 죽은 자를 살리는 것을 그만두게 해달라고 부탁할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06
시속 5백17km를 냈다. 그러나 승객을 태우면 시속 4백km로 떨어진다.일본은 또 세계
최초
의 초전도전자추진선을 선보이기도 했다. 1985년에 착수돼 금년에 완성된 이 스크루 프로펠러가 없는 기이한 배의 이름은 '야마토-1'. 야마토(大和)란 일본의 딴 이름이다.전장 30m, 폭 10m, 승선인원 10명인 이 유선형의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06
있다. 인토크는 한글 통신에뮬레이터의 시조로 소프트웨어적으로 한글을 지원한
최초
의 에뮬레이터다. 기능이 단순하며 별다른 문제점이 없어 나온지 꽤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이야기'는 경북대학교 '하늘소'라는 컴퓨터연구모임에서 만든 에뮬레이터로서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06
위에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이나 효율적인 시설운영에 더 큰 목적을 두는 것이다.세계
최초
로 실을 뽑지 않고 제조하는 섬유, '아라미드펄프'를 개발해낸 KIST 윤한식 박사(섬유 고분자연구실)는 자신의 연구과정을 예로 과학자와 공학자의 차이를 이렇게 설명한다."사실 아라미드펄프는 처음부터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06
유기화학적 합성과정을 통해서 얻기도 한다.1929년 영국의 플레밍(Fleming)에 의해서
최초
의 항생제 페니실린(Penicillin)이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수만종의 항생제가 보고됐다. 그중 1백여종은 현재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이 항생제 덕분에 박테리아 곰팡이 등 세균에 의한 인류의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