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의미한다. 물체가 이동한다면 평면 위의 미래의 원뿔에 세계선으로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과거의 움직임은 평면 아래의 과거의 원뿔에 나타난다. 원뿔 모선의 45° 각도는 민코프스키가 정한 빛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세계선이다. 빛보다 빠른 물체는 아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물체의 세계선은 ...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푸앵소가 발견했기 때문이다. 정이십면체는 무려 59가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 중 한 가지가 케플러-푸앵소 다면체다.이번 수학실험실에서 만나 볼 별팔면체는 ‘소노베’를 이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다. 소노베는 오리가미로 만든 평행사변형 모양으로 여러 개를 끼워맞춰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지점일 것이다. 그곳이 위치에너지가 가장 작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원소 역시 마찬가지다. 원소에는 ‘질량결손 에너지’라는게 있다. 이 에너지가 크면 그 원소는 과잉 질량을 지닌다. 그러면 마치 높은 위치에너지를 지닌, 즉 궤도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롤러코스터처럼 불안정해진다. 이런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끝을 서로 잇는 방법으로 해결한 것이 도넛 모양의 토러스 장치였다. 토러스 장치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었다. 하나는 1951년 미국의 라이먼 슈피처가 고안한 스텔러레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이듬해 러시아의 탐과 사하로프가 제안한 토카막이었다. 생일 이 조금 더 빠른 스텔러레이터는 미국을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초끈이론이 숨겨져 있다”고 짚어냈다.지금까지 알려진 자연에 존재하는 힘은 4가지로 중력, 전자기력, 강한 핵력(강력), 약한 핵력(약력)이 있다. 전자기력과 약력, 강력은 하나로 통일됐지만, 중력은 아직까지도 나머지 힘과 통일돼 있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초끈이론이다. ... ...
- [과학뉴스]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데는 이유가 있다. 우리 몸에 침투한 에볼라가 자신의 주 활동 무대인 혈관으로 바로 가지 않고, 지라(비장)와 같은 내장기관에서 한동안 머무르며 전열을 가다듬기 때문이다. 짧게는 이틀에서 길게는 3주까지 잠복기가 이어진다. 환자는 잠복기가 끝나고 온 몸의 혈관이 터져 피가 나오기 시작해야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부르기도 합니다.Q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를 연구하나요?A 컴퓨터공학은 크게 세 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계산이론 분야는 컴퓨터의 계산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연구를, 컴퓨터 시스템 분야는 컴퓨터의 구성과 동작을 공부합니다. 소프트웨어 분야는 사람과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불리죠. 엄청나게 뜨겁고 압력이 높아야 하기 때문에 어렵지만, 현재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시도하고 있어요. 이터와 한국 의 케이스타(KSTAR), 유럽연합의 제트(JET) 등은 도넛모양의 장치에 뜨거운 플라스마를 가두는 방식을 써요(토카막). 독일과 일본 등에는 비슷하지만 세부가 다른 스텔러레이터를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궤도를 바꾸는 일이지만, 그것 말고도 화 성탐사의 디딤돌, 소행성 연구, 물 확보 등 여러 가지 목적이 섞여있다. 멀리 떨어진 곳으로 전투기를 보낼 때 항공모함을 이용하듯, 소행성을 붙잡아다가 지구와 화성의 길목에 세워두고 징검다리처럼 이용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별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를 오염시키지 않는 재료를 찾아야 한다. 또 플라스마가 불안정할 때 생기는 여러 가지 돌발현상은 순간적으로 상당히 높은 열을 핵융합장치 내벽에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자주 일어나면 핵융합장치의 수명이 짧아질 것이다. 이 때문에 플라스마 연구자들은 불안정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