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버리라고~.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사라진다! 낙서펜벽이나 옷 등 낙서를 해서는 안 되는 곳에 아무리 낙서를 해도 저절로 사라진다면 정말 좋겠지? 시험 공부를 할 때는 공부를 했던 문제집을 쓰고 또 사용할 수 있단다. 이 펜의 비밀은 바로 수분과 만나면 사라지는 잉크야. 벽에 낙서를 한 뒤 그냥 ... ...
- 고민하는 초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성심성의껏 도와드릴게요. 잠깐! 킁킁~! 어디선가 향긋한 냄새가 나요. 아마 30m쯤 떨어진 곳에 누가 달콤한 사과와 시큼한 포도를 까먹고 껍질을 아무데나 버렸나 봐요. 과학자들이 우리를 이용해 실험하는 이유가 흔해서라고 했죠? 우리는 과일을 잠시만 놔둬도 멀리에서부터 찾아 날아가요.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 시간의 흐름이 느리다. 아버지가 처음 방문한 행성은 블랙홀 근처에 있어 지구에 비해 중력이 어마어마했다. 단 2시간 가량의 탐사로 무려 23년을 허비했다. 블랙홀 속으로 들어간 것은 더욱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사용자들은 정해진 용량을 나눠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야구장과 같이 사람들이 붐비는 곳에서는 멀티미디어의 전송속도가 떨어진다.신호는 주파수(진동수)에 실어서 전송한다. 즉 진동하는 파동에 정보를 싣게 되는데 많은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는 단위 시간 동안 진동횟수가 많아야 한다. 예를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하는 우주선과 우주에 임시 거주지를 만들 정도로 기술이 발달했다면 지구를 살기 좋은 곳으로 개조하는 것이 더 쉬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영화가 품고 있는 현대 물리의 현장을 눈으로 직접 느껴보자. 4D 상영관에 간다면 몸으로 느낄 수도 있다 ... ...
- [과학뉴스] 화력발전소 부근, 건강 괜찮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논란 중이다. 노상철 단국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2013년과 2014년, 충남에 있는 네 곳의 화력발전소(당진, 보령, 서천, 태안)와 석유화학단지(대산), 제철소(당진) 주변 주민 480여 명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노출 평가를 했다. 평가 항목은 혈액과 신장기능, 폐기능, 소변, 심전도 및 심박동변이 ... ...
- [과학뉴스] 나이 들면 쇼핑도 힘들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부르는 부분이 젊은이에 비해 선명하게 반응했다. 이 부분은 기억력과 관련이 있는 곳이다. 연구팀은 “판단능력에 문제가 없는 건강한 노인이라도 실제로는 젊은이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노인에게 쇼핑은 더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하는 피곤한 일이었던 것이다 ... ...
- [과학뉴스] 컴퓨터 열로 난방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업이 있기 때문이다.독일의 클라우드앤드히트테크놀로지(Cloud& Heat Technologies)사는 먼 곳에 외따로 설치되는 대형 데이터센터를 대체할 새로운 서버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각 건물에 자사가 개발한 특수 서버를 분산해 설치한 것으로, 서버 사이를 클라우드 기술로 묶는다. 이 서버에는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너지가 오로라로 나오는 것이다. 지상 90km 쯤에선 에너지를 모두 잃게 된다. 이곳이 정확하게 오로라의 끝단이다.오로라는 지상에서 90~250km 상공에 거대한 커튼처럼 펼쳐지기 때문에 오로라 커튼이라고도 부른다. 가장 아래쪽이 색이 강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흐릿해 보이지만 실제로 커튼의 아래와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위성은 지구로 운석을 보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들어서 과학자들은 우리가 온 곳으로 화성을 지목했어요(인간들은 생각보다 똑똑한 것 같아요, 소곤소곤). 제가 우주 공간을 떠돌 때의 일인데요, 저 멀리 목성 위성에서 튀어나온 암석이 목성으로 빨려 들어가더라고요! 수성이나 금성에서 암석이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