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생이 제시한 우주쓰레기 해결방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이로부터 40여년 동안 인류가 쏘아 올린 인공위성이 무려 4천5백여개. 이 결과 지구
반대
편에서 열리는 축구 경기를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지구 주위에 약 10만개에 달하는 우주쓰레기로 넘쳐나게 됐고, 2010년에는 우주 충돌의 위험이 재난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만약 당신에게 ... ...
썩는 플라스틱 생산하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인식과 새로운 대체 대사회로를 찾아낼 수 있다.역대사회로 분석은 대사회로 분석과는
반대
되는 개념으로 미생물내부의 특정 대사회로를 증폭시키거나 차단시켰을 때 대사산물의 생산량 변화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실험을 하지 않더라도 특정 대사회로를 적용시켰을 때의 결과를 예측할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분해해보면 된다. 1666년 뉴턴은 창문에 지름이 약 8mm인 작은 구멍을 내고 프리즘을 놓아
반대
쪽의 흰 벽에 비친 무지개 색의 띠를 관측했다. 그 빛의 띠를 ‘스펙트럼’이라 했다.그렇지만 별빛은 너무 어두워서 오랫동안 프리즘으로 스펙트럼을 관측할 수가 없었다. 2백년이 지난 뒤인 1870년대에야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것이다. 모든 태권도의 동작은 시발점에서의 자세와 마지막 힘의 발산지점에서의 자세가
반대
로 이루어진다. 이것이 모두 충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자세 변화다. 예를 들어 지르기시 주먹은 손바닥이 위로 돼있는 상태에서 목표물에 닿는 순간에는 손등이 위로 향하며, 아래 막기도 처음 자세는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황도 상의 움직임을 알 수 있다. 보름달일 때, 특히 월식이 일어날 때 태양은 달과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기 때문이다. 한편 천구에서 달이 움직이는 길인 백도는 황도와 약 5°기울어져 있지만 대체로 황도와 비슷하다. 해왕성 발견된 염소자리이번 가을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황도 별자리는 ... ...
예측불허 주가에 숨겨진 질서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에 대해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했다.오히려 효율적 시장 가정을 지지하는 학파와 이를
반대
하는 학파의 첨예한 대립만 심화되고 있다.이들 논쟁의 결과로 도출된 결론 중 하나가 실물시장경제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좀더 정교한 수학적 모형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단기 예측은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수소 같은 경우에는 원자가 두 개 모여 수소 분자를 이루고 스핀이
반대
인 전자들이 쌍을 이루어 안정된 분자를 이룬다. 만일 전자의 스핀이 0이면 수소원자를 여러개 모아 놓았을 때 이들은 서로 결합해 모든 전자들이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어떤 수의 원자를 ... ...
구조동역학연구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큰 지진에 대해 구조물이 무사히 버티면 된다"며"인천공항 관제탑처럼 땅의 흔들림과
반대
방향으로 구조물이 움직이면 지진의 피해를 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면진'이란 말이 여기서 등장한다.구조동역학연구실은 7년 전부터 국내에서 LNG저장구조에 면진장치를 설치하기 시작했다.지름73m,높이4 ... ...
1. 신기술이 제조해 온 신기록의 변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원반으로 타이어를 지지하는 형태였다. 기존의 바퀴는 공기 흐름이 바퀴의 진행방향
반대
쪽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지지 않아 저항을 받았으나, 원반형 바퀴는 공기가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흘러가 저항이 크게 줄기 때문에 기록 향상에 훨씬 유리했다.원반형 바퀴는 크게 유행됐다. 모서의 바퀴는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실제로 접근하는 만큼 밝아지지는 않았다. 바로 이 사실이 그때까지 코페르니쿠스에
반대
하는 강력한 증거였다. 그런데 망원경으로 보았을 때는 금성의 크기가 코페르니쿠스의 예견대로 변화했으며 지구에 가장 가까워질 때 커다란 초승달 모양으로 보였고 태양 너머로 멀어질 때는 작은 보름달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