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값싸고 유익한 건강법을 터득할 수 있을 것이다. 참쑥과 약쑥은 어떻게 다른가
식물
학적으로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이다. 뿌리가 땅속에서 살아 있다가 이듬해 봄이면 잎이 돋고 여름에 꽃을 피운다. 꽃은 이삭모양이고 아래로부터 차례로 핀다. 쑥의 종류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 ...
PART 3 생명의 시작은 물에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식히는데에는 수욕이 필요하다. 야행성 캥거루쥐는 전혀 물을 마시지 않는데 건조한
식물
의 씨앗을 먹어 5주일에 약 57g의 수분을 신진대사 시키고 있으며 1~2방울의 물로 불필요한 염분을 배출한다. 또 고래의 신장은 매우 효율이 높아 많은 바닷물을 마신다. 해초와 파충류는 전적으로 염분만 ... ...
낙엽수는 공기를 깨끗이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환원산소나 화학물질에 의해 암모니아 아미노산 단백질로 환원되는 구조와 O₃가
식물
에 함유되어있는 비타민C에의해 산소분자나 물이되어 해독되는 메카니즘도 밝혀졌다. 또 이 오염물질정화능력을 낙엽활엽수 78종, 상록활엽수 35종에서 조사해본바 ① 낙엽수가 상록수보다 정화능력이 높고 ② ... ...
서독 막스-플랑크연구소의 「보다 좋은 감자」생산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1년만에 원래의 재배종의 우수한 형질과 함께 원하는 저항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게 되는
식물
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감자의 조각을 얇게 썰어 그것을 인공 배양을 한다. 여기에 야생종에서 추출해낸 저항유전자를 삽입시킨다. 이 과정은 박테리아의 도움을 받을 ... ...
PART 2 지구와 물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균형을 이루고 있다. 물은 적당히 함유된 무기물질과 유기물질을 영양분으로
식물
에게 전달하며 그 속에서 많은 생물들의 생명을 보존시켜 준다. 만일 물이 순수한 H₂O라면 그 속에서 거의 모든 생물은 생명을 지탱하기 어렵다. 물이 갖고 있는 각종 성분과 생물들의 세포 및 기관의 등장성(等張性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알아내는 길을 열어 놓았다. 또 그는 농예화학에도 손을 댔다. 토양이 척박해지는 것은
식물
에 의해서 함유광물이 소비되기 때문이며, 특히 생명의 유지에 필요한 Na, K, Ca, P등을 포함한 화합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최초로 화학비료에대한 실험을 함으로써 과학적 영농이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잘되어 건조하게 되면 물이끼 끈끈이주걱 좀통발 등의 생장이 저해되고 그대신에 초원
식물
이 침입하여 결국 산지초원으로 변해버리고 말 것이다. 물론 수위뿐만 아니라 주위로부터 습원안으로 유입되는 수질이 변해도 습원은 파괴돼버리므로 이런 점에 유의하여 보존책이 세워져야 하겠다 ... ...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새로운 시대 우리는 사하라사막에서 갖고온 한
식물
의 원형질을 ‘개자리’라는
식물
에 접합시켰읍니다. 물론 이 개자리는 염분과 남 ‘튀니지’지방의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견딘 잡종 개자리였읍니다. 또 우리는 페루산 토마토와 갈라파고스 제도의 짠물에서 서식하는 토마토를 교배 시키는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등장할 것이다. 또 질소를 고정시키는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이식시켜 비료가 필요없는
식물
도 만들 수 있게 된다. 어쨋든 유전자 조작 기술의 향상은 장차 생산성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바로 제2의 농업혁명이 눈 앞에 다가온 셈이다 ... ...
아프리카 코끼리의 기이한 습관 왜 어두운 동굴을 찾을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바깥보다 따뜻한 동굴 안에서 푹자는 것이다. 그러나 몸이 거대하고 초식이어서 대량의
식물
이 필요한 코끼리는 지능이 높아 정착할 법도한데 동굴을 거처로 정할수는 없었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될수 없었던 동굴의 코끼리를 생각할때 먼옛날 바위 그늘에서 거처하면서 염분이 부족할때 이것을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