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봄에 사람을 괴롭히는 화분증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하는 점이나 도대체 어째서 인간은 lgE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은아직 분명히 밝혀
지지
않았다.1966년에 처음으로 lgE를 발견하고 알레르기 반응에서의 그 역할을 증명한 존즈홉킨즈대학의 연구팀은 “lgE가 본질적인 것이라는 증거는 없다. 그리고 lgE의 굉장한 영향력을 생각하면 인간이 lgE를 좀 더 ... ...
"설계도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로킷"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그래도 우리의 선조들이 그때의 어떤나라의 무기나 로킷과 견주어도 조금도 뛰떨어
지지
않는 훌륭한 로킷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두뇌를 가졌던 것은 사실이고, 그 좋은 머리가 후손인 우리에게 고스란히 전해졌다는 것만은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 ...
귀동냥으로 배우는 16비트 PC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개인, MS-DOS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개발의 선두그룹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특히 MIT의 '민스키'교수가 뉴런컴퓨터의
지지
를 확실히 표명한 이후 미국에서의 관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 인간의 뇌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면서(신경생리학의 발달) 뉴런컴퓨터에 대한 관심고조는 이론적 무장을 갖추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 ...
별들의 수수께끼에 생애를 걸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천문학자들이 앞으로 풀어야할 숙제인 것이다”라는 대목이었다. 특히 아직 밝혀
지지
않은 것이 많다는 건 큰 유혹이었다. 사실 의문 투성이의 학문을 눈앞에 두고 한번 도전해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배고픈 학문」의 선택내가 대학에 입학할 당시에는 국내 대학에 천문학과가 ... ...
미국「벌티모아」에서 성병환자 20명중 1명꼴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매독, 헤파티스, 허피즈에 걸려 있었는데 이들이 어떤 경로로 AIDS에 감염되었는지는 밝혀
지지
않고 있다. 조사자의 한사람인 '토마스 퀸'씨는 과거 성병에 걸렸던 사람은 AIDS 검사를 받아보는게 좋을 것 같다"고 이번조사 결과를 근거로 권고하고 있다 ... ...
우리말 무른연모도 만들자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쉬운 글로서 표현할 수 있다.낱말이름 "잠깐" 다음의 "(시간-)"은 설명글로서 사전에 올려
지지
않고 다만 읽는 이에게 이 낱말은 수더미에 시간을 나타내는 수가 미리 올려져 있어야 하며 이 낱말의 집행이 끝나면 그 수가 수더미에서 없어진다는 수더미의 상태바뀜을 알려 준다. 늘품에서는 모든 수의 ... ...
가장 생명력이 강한 것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저항력이 있는 것들이다. 수년만에 그 살충제는 효력을 상실하며 새로운 살충제가 만들어
지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고생물학자들은 곤충의 진화적 발전에 대한 상세한 것들을 굉장히 알고 싶어 하겠지만, 그것은 적고 또 화석도 거의 남아있지 않다. 가장 오래된 곤충들의 흔적은 매우 원시적인 '튀는 ... ...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죽음의 계곡 DEATH VASSEY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훨씬 낮게 지각이 내려 앉는바람에 생겨난 것이라고 한다. 이때 이곳에는 아직 밝혀
지지
않은 고(古)인류가 살았던 흔적이 있으며 여러 생물들이 번창했던것으로 보인다. 사막화의 진전에 따라 지금과 같은 메마른 땅이 되었을 뿐이다. 현재 이 계곡가운데 약 5백50평방마일이 해수면보다 낮으며 ... ...
목소리 무늬 지역, 연령, 학력, 체격을 구분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내면 입술이 앞으로 둥그렇게 나오는데 '학실히'로 발음할 때는 입술이 나오지도 둥글어
지지
도 않는 것이다. 이러한 입술 둥그림 현상을 음성학에서 원순성 또는 'w'요소 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원순성이 경상도 말에서는 없거나 약하고 표준말에서는 중간정도이며 호남 지역의 말에서는 강한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더우기 단독수상이라는 소식을 들었을때 믿어
지지
않았다고 한다. 도네가와는 "과학자란 운이 따라야 하는데 그런 점에서 나는 매우 운이 좋았다"고 말하고 있다. 그의 말대로 라면 그는 노벨상을 탈 수 있는 행운의 인생역정을 걸어 왔다. 1939년 일본 오사카의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