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잔해로 확인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호수 아래에서 더 큰 파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지만 지금까진 소득이 없다.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러시아가 체르노빌 원전 폭발과 유사한 참사를 기적적으로 피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피해지역에는 ‘마야크 재처리 공장’과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이전까지 운동 기능만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과학자들이 자폐증 메커니즘의 큰 그림을
보고
있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어느 유전자에 문제가 있을 때 자폐증이 생기고, 어느 신경회로의 문제가 치명적인지는 알고 있다. 자폐증은 신경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시냅스에서 수용체가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출발했어요. 자신이나 주변에서 독감에 걸린 사람이 있으면 자연히 독감에 대해서 알아
보고
자 검색할 것이기 때문이에요. 구글은 독감과 관련된 주제를 검색하는 사람의 수와 독감 증상이 있는 사람 수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연구해 과학전문 저널 네이처에 발표했어요. 실제로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모두 취재 수첩을 작성하느라 수고하였습니다. 윤수빈 기자는 취재에서
보고
배운 내용을 상세히 작성해 주었네요. 이현희 기자는 박사님들께 가장 많은 질문을 던지고 취재에 매우 적극적인 태도로 참여해서 인상적이었습니다. 취재 수첩에 더욱 구체적인 내용이 담겨 있었다면 좋았을 것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현상을 접하기 어려운 보통 사람들은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상 현상을
보고
도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으면 우리는 어리석은 일을 하게 된다.예를 들어 보자. 뉴턴의 중력 법칙으로는 수성의 공전 주기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사실은 이미 19세기 중반에 잘 알려져 있었다. 이를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때 ‘이제 성공했구나’ 싶었지요. 킥모터부터는 자신 있었거든요. 발사를 끝내고
보고
를 준비하는데 ‘위성 속도가 초속 8km를 넘었다’는 메시지가 떴어요. 위성 속도가 8km를 넘으면 실패할 수가 없어요. ‘이젠 됐다’ 싶었지요. 속도나 위성의 궤도만 보면 이번 발사는 상위 1% 안에 들어요 ... ...
호빗이 사는 외계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행성이 별 주위를 돌 때 별빛을 조금 가리면서 점을 만드는 걸
보고
외계행성을 찾는다. 점이 클수록 행성도 크다. 지금까지는 지난해 발견된 케플러42d가 가장 작은 행성이었다. 케플러42d는 지구의 절반 크기다. NASA는 “올들어 달만한 크기로 추정되는 외계행성이 발견됐으며, ... ...
민주화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심각성을 더하고 있는 최근 현상을 심리과학자들이나 정신건강의학자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반사회적 성향과 강박증, 대응에 대한 공격 성향 강화 등으로 설명합니다. 악플을 반복할수록 다른 사람의 반응에 더 자극적으로 대응하게 되고 이 행동이 반복되면서 중독되는 ... ...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탄두가 끝내 발견되지 않는다면 테러를 감행했다는 혐의야 벗을 수 있겠지만.’청취
보고
서를 본부에 제출하고, 집으로 돌아가 일찍 잠을 청했다. 머릿속에서는 사진으로 본 그 유물위성의 모습이 지구를 배경으로 뱅글뱅글 돌아가고 있었다.‘그럼 그게 지구의 표지판이라도 된다는 건가? 근처에 ... ...
가볍고, 견고하다! 텐세그리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고무판 위에 놓으면 세포는 오히려 공처럼 더 동글동글해지는 것이었다. 이런 현상을
보고
의문을 품은 하버드대 도널드 인그버 교수는 세포가 텐세그리티 구조로 돼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실험을 해 보았다.서로 직각을 이루는 세 쌍의 막대기의 끝을 고무줄로 연결해 텐세그리티 구조를 만든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