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공학자가 되려면 어느 과를 가야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연구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다.특히 뇌과학 연구자의 상당수가 물리학자다.신경
세포
가 어떻게 서로 정보를 주고받고 처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뇌파분석과 같은 물리학적 연구방법이 이용되고 있다.한 예로 미국 예일대 의대 연구원이며 본지 '복잡성의 과학'의 필자인 정재승 박사가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어느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세포
옆에서하나의
세포
를 만들기 위해 푸른 행성지구는 그렇게 진화했나보다.DNA 이중나선을 붙들기 위해 150억년 전빅뱅 우주는 그렇게 수소를 만들었나보다.긴장과 초조로 가슴 조이던 기나긴 우주 진화의갈림길에서 이제는 돌아와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치매를 비롯한 각종 뇌질환을 정복하는 일도 가능하다.1909년 뇌의 구조를 신경
세포
수준에서 명확하게 보여준 라몬 카할과 카밀로 골지가 노벨상을 수상한 이래 여러 신경과학자들이 노벨상 업적을 이룩할 수 있었다.두뇌는 소우주라 불리는 것처럼 신체기관 중에 가장 복잡한 구조로 돼있으며 ... ...
게놈기능제어연구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생명정보학은 도전해볼만한 첨단 분야김영준 교수는"DNA와
세포
의 수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는 생명정보학이 앞으로 매우 중요해진다"고 전망했다."하지만 이 분야가 생물학과 의학등의 생명공학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고급 인력이 필요하다.특히 생명공학도 ... ...
사과는 자연 항암제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코넬 대학의 이버하트 박사 연구팀은 최근 ‘네이처’를 통해 사과에서 추출한 물질이 암
세포
의 성장을 둔화시키고, 이 현상은 사과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항암효과는 특히 껍질을 벗기지 않은 사과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과 속에 있는 산화를 ... ...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마련이다. 다행히도 후각상피는 약 1달마다 계속 새로운
세포
로 대체된다. 보통 신경
세포
는 재생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예외적인 현상이다.냄새 전문가에게 드는 비용 절감그렇다고 전자코를 사람코에 맞춰 평가할 수만은 없다. 몇몇 경우에서는 사람코보다 훨씬 쓸모있을 때도 있다. ... ...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가동시킨다. 이는 마치 우리 몸을 이루는 수많은
세포
들이 같은 DNA를 갖고 있지만, 각
세포
들은 DNA에서 필요한 정보만 뽑아 쓰는 것과 같다.임박사는 “여러 개의 모듈을 붙여서 만든 로봇의 장점은 주위 환경에 가장 적합한 모습으로 쉽게 변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이 로봇은 ... ...
복제술로 부활하는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생존은 미지수그러나 백두산호랑이 복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게 존재한다.
세포
는 핵 외에 미토콘드리아라는 소기관이 작은 양(전체의 1%)이지만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백두산호랑이 복제 연구의 경우 소나 고양이의 난자를 사용했고, 이 난자는 핵을 제거했어도 분명히 소나 고양이의 ... ...
난치병 치료의 두가지 돌파구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때 복제돼지의 의미가 살아난다. 유전형질이 바뀐 돼지 한마리를 만들면 이로부터
세포
를 떼내 수많은 ‘장기이식용’ 돼지를 복제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연구진이 이 복제돼지의 이름을 이종이식(Xenotransplantation)에서 따 ‘제나’(Xena)라고 명명한 이유도, 면역거부반응이 없는 형질전환 ... ...
저절로 박자 맞추는 박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있다. 오히려 생물학자들은 운동을 관장하는 대뇌신경망이 ‘시냅스로 연결된 신경
세포
들’로 이루어져 있어, 연결된 진동자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대뇌신경망의 동역학적 특징이 동물들의 걸음걸이를 진동자처럼 움직이게 하는 것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다.이처럼 연결된 진동자를 연구하는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