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7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크루즈 해변에 맞닿아...해저단층 조사 연구의 최전선을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31
지도에 대한 설명을 요청해도 자신있고 유쾌하게 설명해 줍니다. 둘로 나눠진
작은
단층이 실제로 거대한 단층 한 개였다는 사실을 찾아낸 자넷 와트 연구원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며 “운이 좋았다”며 웃었습니다. 그러나 말을 하는 와트 연구원도, 그 이야기를 듣는 기자도 운이 아니었다는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헤모퓨어(Hemopure)라는 제품으로 소의 적혈구에서 추출한 헤모글로빈 15~16개로 이뤄진
작은
입자가 들어있는 액체다. 헤모퓨어는 진짜 수혈 혈액처럼 환자의 혈액에 더해져 수십 일 동안 작동하는 건 아니지만 당장 급한 며칠 동안은 버틸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오지나 전쟁터 등 수혈용 혈액을 ... ...
페이퍼 아트로 재현한 바로크 장식
팝뉴스
l
2017.10.30
모습의 고성 대신 고층빌딩과 항공기로 장식되어 있다. 그녀는 때로는 바이올린이나
작은
범선을 얹어서 소박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어떤 장식을 얹든지 간에 그녀의 작품은 현대와 과거가 묘하게 뒤섞인 독특한 아우라를 자랑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긴 몸을 꿈틀꿈틀! 뱀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0.30
판에 전선 및 각종 부품을 꽂아 전기회로를 만들었어요. 브래드보드는 일정한 간격으로
작은
구멍이 많이 뚫린 직사각형 판이에요. 그 속에는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납으로 도금된 블럭이 들어 있어서 구멍에 전기 부품을 꽂기만 하면 납땜을 하지 않고도 쉽게 전기회로를 만들 수 있지요. 이때 ... ...
병원에 비치된 장난감을 피해야 하는 이유
2017.10.29
키우다 보면 병원 갈 일이 참 많습니다. 각종 예방접종에 여러 가지 크고
작은
질병 등이 병원을 찾는 이유이지요. 그렇게 찾은 병원에서 우리 아이들은 얌전히 진료를 받으면 좋으련만 절대 얌전하지 않습니다. 진료실에 들어가길 거부하며 발버둥 치는 아이부터 막상 들어가서는 고래고래 소리를 ... ...
동그라미 모양의 숫자 ‘0’, 그 뿌리는 3세기!
수학동아
l
2017.10.29
‘0’은 언제 등장했을까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와 보들리안도서관 연구팀은 점 중앙에
작은
구멍이 뚫린 모양새를 가진 ‘0’이 적힌 인도 기록물인 ‘바크샬리 필사본’의 집필 연대를 탄소 연대 측정법으로 추정했습니다. 그 결과 224년부터 383년 사이에 만든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로써 기호 ... ...
[카드뉴스] 사장님은 왜 등산을 좋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8
세 가지 요소를 가장 잘 만족시키면서도, 누구나 쉽게 갈 수 있는 곳은 주변의
작은
산입니다.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한 연구에서는 15분 간 틀린 맞춤법을 찾는 과제를 한 뒤 참가자를 둘로 나눠 각각 해안과 목장의 사진, 도시 사진을 보여주고 맥박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과제를 하면서 빨라진 ... ...
요즘 SNS에서 핫한 ‘핑크 뮬리’가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8
길고 가느다란 줄기에는 얇고 길며 뾰족한 잎이 나 있고 줄기 꼭대기에는 분홍빛의
작은
꽃이 원뿔 모양 무리 지어 핀다. 가을에 피는 이 꽃이 바로 핑크뮬리의 매력 포인트다. 핑크뮬리의 학명은 ‘뮬렌버기아 카필라리스(Muhlenbergia capillaris)’다. ‘뮬렌버기아’는 처음 식물을 발견한 사람 ... ...
꽃잎으로 만든 일상의 예술 작품
팝뉴스
l
2017.10.27
캐롤라인 사우스의 작품들이다. 꽃잎들을 모아 곱게 배치하니 꽃보다 아름답다.
작은
돌멩이들도 예술 작품이 되었다. 예술가의 손길만 스쳐도 일상의 물건들은 예술 작품이 된다. 마법과 같은 솜씨라는 평가를 받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뉴스 되짚어보기] ‘농작물’ 진화 시
작은
3만 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7.10.26
아니라 ‘곡식 진화의 시작’ 시점을 추정했거든요. 자연에 이미 존재하던, 볼품없이
작은
열매를 맺는 풀들은, 인간의 손길을 만나 점차 지금 우리가 아는 곡물로 진화해 갔습니다. 이 때 진화는 생명체의 유전자 구성이 변화해 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유전자 구성이 어느 정도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