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전자소자 크고 두껍게 만드니 발열 ‘뚝’
2016.06.07
김성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사진)
팀
은 그래핀의 크기 및 두께와 열전도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은 두께가 원자 한 층에 불과할 정도로 얇고 기존 실리콘 소재보다 전자 이동도가 100배 빠르다는 ... ...
전 세계 바닷속, 인터넷으로 생중계
2016.06.07
를 통해 누구나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글렌 가와큐츠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 연구원
팀
은 OOI 데이터를 활용해 해수 온도의 변화와 해류의 움직임을 탐지하는 등 해양 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가와큐츠 연구원은 “OOI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7개 지역은 민간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라며 ... ...
비밀번호 '중복사용'한 저커버그, SNS 계정 연달아 털렸다
포커스뉴스
l
2016.06.07
계정들을 연달아 해킹한 것이다. 지난 5일 저커버그의 핀터레스트 페이지에는 "아워마인
팀
에 해킹됐다. 저커버그의 보안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글이 올라왔다. 저커버그가 이번 해킹으로 입을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 계정 개설 이후 트윗을 단 19번만 날렸고 가장 최근 ... ...
新 유전자 가위로 돌연변이 쥐 생산 첫 성공
2016.06.07
정확성이 뛰어나고 기존 유전자 가위보다 제작비용이 저렴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
팀
은 새로운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암에 잘 걸리는 생쥐를 개발했다. 쥐 수정란에 Cpf1 유전자 가위를 넣어 암 억제 유전자를 잘라낸 뒤 대리모에게 이식하자 새끼 쥐의 70% 이상이 암에 잘 걸리는 쥐가 됐다. 이 ... ...
당신의 카카오톡 대화, 누군가 엿보고 있다?
2016.06.03
공유하며 협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원고도 그런 방식으로 저와 동아사이언스 편집
팀
이 공유해 작업했습니다.) 이런 링크를 카톡으로 전송하면 자칫 다음 검색 결과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 링크를 아느냐 여부가 열쇠 역할을 해서 문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주는 방식인데, 카카오가 중간에 ... ...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16.06.03
도마뱀이 보인 것이다. 사람은 이런 수면패턴을 보일 때 꿈을 꾼다. 그래서 연구
팀
은 도마뱀 같은 파충류도 사람처럼 잠을 잘 때 꿈을 꿀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전에는 잠을 잘 때 렘 수면패턴을 보이는 것은 새와 포유류뿐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파충류인 도마뱀까지 렘 수면패턴을 보인다면, ... ...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
2016.06.03
동물에게 미치지 못한다. 2014년 미국 록펠러대 신경유전학연구소 레슬리 보스홀 교수
팀
은 사람의 코가 후각 수용체 396개를 조합해 1조 가지에 달하는 냄새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냄새를 가장 잘 맡는 동물인 코끼리는 후각 수용체가 1948개로 사람의 5배에 이른다. 이 때문에 전자코 ... ...
20분만에 지카바이러스 진단하는 키트 개발
2016.06.02
수 시간에서 수 일까지도 걸렸다. 배판기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선임연구원
팀
은 지카바이러스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유전자재조합해 만든 뒤 이를 이용해 면역진단키트를 개발했다. 감염의심 환자로부터 피 한 두 방울을 채혈해 진단키트에 넣으면 20분 만에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 ...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
과학동아
l
2016.06.02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난 권영관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연구위원(RI 실험장치
팀
장)은 “이론적으로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위원소(핵종)의 종류는 약 1만 개인데(현재까지 자연계와 실험실에서 발견된 것 포함), 라온은 그 중 80% 이상을 만들 수 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 ...
몸 속 단백질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2016.05.30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현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사진)
팀
은 형광물질을 이용해 단백질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단백질 위치 파악법’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우리 몸 속 단백질은 무질서하게 존재하지 않고 각자 정해진 위치에서 맡겨진 역할을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