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필
저작
저술
작문
d라이브러리
"
쓰기
"(으)로 총 88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06
대한 기괴하고 놀라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저명한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 직접 여러 기관을 찾아다니며 연구용으로 기증된 시신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밀착취재했다. 그는 미국에서 중국 하이난 성의 화장장, 스웨덴 뤼뢴까지 세계 곳곳을 다니며 인육만두 빚기나 머리 ... ...
스님이 남긴 세 편지
수학동아
l
201005
평소에도 서산대사님의 ‘선가귀감’을 자주 읽으셨지. 어쩌면 인도에서 숫자 0을
쓰기
훨씬 전에 부처님은 0을 깨달으셨던 것 같아. 숫자 0은 없지만 있는 수…. 0의 마음으로 사는 것은 어떻게 사는 것을 말하는 걸까?수학에서 0은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는 기준 역할을 하는 수야. 없지만 부족하지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05
왜개자를 술에 타 마시다가 사망한 사람의 이야기가 나온다. 권 박사는 “지봉유설을
쓰기
전부터 고춧가루를 술에 타 마시던 방식이 있었다는 얘기라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인들이 가져온 ‘독극물’을 어떻게 매일 밥상에 올리는 반찬인 김치에 넣었을까”라며 의문을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개발한 프랑스 뇌과학연구소 뉴로스핀의 데니스 레비안 교수는 뇌를 정보의 읽기와
쓰기
가 자유로운 메모리에 비유했다. 신경세포는 매순간 정보가 바뀌고 바뀐 정보가 신경세포 사이를 흐르면서 연결성이 생긴다는 주장이다. DTI의 장점은 일단 외과적 수술이 필요 없고 짧은 시간에 뇌 전체의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지름 300μm의 다이오드 레이저인데, 고정밀 전자회로에 신호를 전달하는 광원으로
쓰기
에는 너무 크다. 이 때문에 새로운 시각에서 광원을 만들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서강대 물리학과 김칠민 교수도 μm 크기의 초소형 레이저를 제작하려는 연구자 중 하나다. 김 교수는 여러 방향으로 방출되는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05
온도 체계를 착각했을 뿐이다. 섭씨온도를 쓰는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화씨온도를
쓰기
때문이다.화씨온도는 섭씨온도보다 먼저 개발됐다. 1724년 독일의 물리학자 파렌하이트는 소금과 비슷한 염화암모늄을 섞은 얼음물이 어는 온도를 0도로, 체온을 96도로 하는 온도 체계를 만들었다. 화씨라는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05
적게 쓴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또 세 나라는 각 자리마다 기호가 달라 더 큰 수를
쓰기
위해 기억해야 하는 기호의 개수가 많아지는 반면, 지금은 기호 10개로 모든 수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보다 더 큰 차이점은 0을 사용해 계산이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 ...
책을 만들 때도 수학적 사고력으로!
수학동아
l
201005
게임 등의 취미를 더 좋아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에요. 때때로 작가는 책 한 권을
쓰기
위해 평생 공을 들여요. 그런 책을 읽으면 작가의 인생을 경험하게 되는 거예요. 매우 의미 있고 값진 일이겠죠? 어렸을 때부터 독서습관을 기르면 더 풍성한 삶을 살 수 있을 거라고 믿어요.”대표님의 말씀을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05
어떻게 해야 효과적일까. 많은 사람들은 과격한 운동의 경우 체내의 당을 에너지원으로
쓰기
때문에 체지방은 잘 분해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살을 빼려면 빨리 달리는 것보다 천천히 걷는 게 좋다는 말도 여기서 비롯됐다. 오 교수는 “격한 운동을 할 때 당을 먼저 쓰는 것은 사실이지만, 30분 이상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05
이뤄졌다.포도당처럼 단위 무게당 에너지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큰 탄수화물을 연료로
쓰기
위해 대장균, 프로테우스균, 슈도모나스균 등을 이용했다. 참고로 미생물연료전지 음극부는 산소가 없는 조건이어야 하는데, 산소가 있을 경우 발생한 전자를 다 잡아먹기 때문이다. 따라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