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
과학동아
l
201610
의수는 많은 절단 장애인들이 최근까지도 사용할 정도로 실용적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에는 절단 장애인의 수가 더욱 많아졌다. 이 때엔 드디어 의수를 부착하는 팔에 남아 있는 근육의 움직임을 읽어 손가락을 움직이는 의수가 나타났다. 이 의수는 독일 의사 페르디난트 사우어브루흐가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
수학동아
l
201609
도형이 다빈치가 레오나르도 돔의 설계도에 그린 도형과 일치한다는 걸 발견했어요.
이후
부터 레오나르도 돔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도형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그 결과 여러 사람이 힘을 모으면 손쉽게 튼튼하면서도 거대한 돔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워크숍 당일 참가자들이 ... ...
[소프트웨어] 엑스브레인
수학동아
l
201609
이세돌 9단의 대국
이후
로 ‘기계학습(머신러닝)’이란 용어는 많은 사람에게 익숙해졌다. 정작 그게 무엇을 뜻하는지, 어떻게 쓰이는지는 몰라도 말이다. 그런데 잘 모르는 사람도 기계학습을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이 있다. ‘엑스브레인’이다. 놀라운 건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l
201609
면이 움푹 들어가 삽 머리 같은 모양을 한 치아는 주로 아시아인에서 나타난다. 1990년대
이후
에는 이런 특징들을 수량화시켜 좀 더 객관적으로 추정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됐다. 대표적인 결과물이 ‘포디스크(FORDISC)’라는 소프트웨어다. 머리뼈의 여러 부분을 계측해 입력하면 포디스크가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09
그 자리에 피부세포가 변한 지느러미가 있었다. 이 지느러미에서 손가락이 진화했는지는
이후
10년 동안 논쟁이었다. 지느러미 가시와 손가락뼈는 조직과 형태가 달랐다.틱타알릭의 발견으로, 그는 육상 척추동물이 진화 과정에서 얻게 된 또다른 신체 부위인 목(어류는 목이 없다)에 힘을 줄 충분한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
과학동아
l
201609
비해 건설비가 저렴해 1990년 후반부터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실제 운행이 시작된
이후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계속된 적자를 메우기 위해 지자체가 매년 100억~1000억 원씩 예산을 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속도로도 마찬가지다. 2014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28개 노선에서 건설투자비로 회수한 비율은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
과학동아
l
201609
사람이 사회적으로 더 나은 기회를 잡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노예제가 폐지된
이후
에도 피부색에 따른 또 다른 차별이 계속됐음이 이런 유전적 다양성 안에 고스란히 기록돼 있는 셈이다.사이먼 그라벨 교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유전적 다양성은 의료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09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 장내미생물은 한 순간에 ‘제2의 게놈’, ‘차기 노벨상 후보’로 떠올랐다. 하지만 과유불급이라 했다. 장내미생물에 대한 열광 중 과장은 없는지, 최신 연구 현황을 차분하게 되돌아봤다.2년 전 기자는 직접 6주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
수학동아
l
201609
1억 번 또는 원하는 어떤 수보다 더 많이 칼질하는 경우가 있다는 거지요. 안타깝게도
이후
20년 동안 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이 나오지 않았습니다.4명이 공평하게 먹으려면 203번 잘라야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 4월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소와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
수학동아
l
201609
관해 연구하고 있다. 남·북한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통일
이후
새로운 교과과정을 만들 때 기초 자료로 쓰기 위해서다. 기초 자료가 탄탄하면 각 교육과정의 장점을 바탕으로 통합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지난 7월 독일에서 열린 국제수학교육자대회에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