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4,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역학과 수학을 연결하는 다리, π수학동아 l201512
-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를 구했습니다. 에너지 준위란 원자의 중심핵을 회전하고 있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 값이고, 변분원리는 양자역학에서 에너지 준위의 근삿값을 구하는 방법입니다.사실 수소 원자는 에너지 준위를 정확하게 구할수 있는, 몇 안 되는 원소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12
- 과학자들은 ‘미니빅뱅’을 재현했다. 거대 강입자가속기(LHC)로 에너지가 약 1000억 eV(전자볼트)나 되는 양성자를 서로 빛에 가까운 속도로 부딪혀 태양 중심부보다 30만 배 뜨거운 약 4조℃의 극초고온 상태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실험을 통해 힉스 입자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세상에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11
- 로봇이 아직 없다. 대신 전문 인력으로 거듭나기 위한 로봇은 개발 중에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의료, 금융, 법률 등의 분야에서 전문가를 도울 수 있는 인공지능인 엑소브레인을 개발 중이다. 2016년에는 장학퀴즈에서 우승하는 것이, 2020년까지는 취업 시험에 통과하는 것이 목표다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11
- 연구하고 있는 광주과학기술원 광양자센터가 주목하는 것은 느린 빛과 소리의 결합이다. 전자기파와 반응하는 기존의 빠른 빛과 달리, 느린 빛은 음파에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초음파와 연동하면 영화 ‘엘리시움’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했던 ‘빛진단치료’가 가능해진다. 현재 초음파 의술은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11
- 모멘트를 구할 수 있다. 이를 보어 마그네톤이라고 한다(INSIDE 참조). 궤도운동을 하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자기 모멘트 값이다.보어의 원자모형은 이처럼 많은 난제를 해결했지만, 여전히 이론적으로는 논란이 있었다. 슈뢰딩거와 하이젠베르크가 양자역학을 완성한 뒤에야 보어의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11
- 신경세포를 파괴해 기억을 지우는데, 양이 워낙 적어서 일반 조직 검사나 양전자단층촬영(PET)을 통해서는 검출하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올해까지 임상실험을 완료하고 기술이전을 거쳐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다.한편 랩 온어 칩이 바이러스 진단에 활용되기도 한다. 에볼라나 중동호흡기증후군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11
- 개발하는 플랫폼)가 있다. 우주비행사들은 누구나 비상상황을 대비해 기초적인 전자공학 기술을 배운다. 우주인 훈련 마지막 단계로 나는 유타사막에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해 소형위성인 큐브샛과 큐리오시티 탐사로봇을 만들었다. 이 경험을 활용해 3D 프린터로 탐사로봇의 부품을 제작하고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11
- 희석한 물에 벼 이삭을 담갔다가 말린 뒤 심으면 가지각색의 벼가 나온다. 4만 개 유전자를 다 건드려 놓기 때문. 이 과장은 “여기서 육종가의 눈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육종가가 2만 개 이상의 수많은 돌연변이 벼 중에서 팔 수 있을 만한 걸 골라냅니다. 예컨대, 소화가 잘 안 되는 전분이 10%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말했어요.한편 전세계 과학자들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질량의 기준을 정의하기 위해 전자기력과 중력을 이용해 질량을 재는 와트 저울을 개발 중이랍니다. 이제 초파리인 내가 조금 달라 보인다고? 후훗! 친구들도 사소한 일상 속 과학을 찾는다면 언제든 사소 요정을 불러 줘~! 그럼 그때 다시 만나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보이진 않아요.지진광이 나타나는 것은 지하에 있는 특정 광물이 힘을 받으면서 전자가 한꺼번에 분리돼 대기권으로 나오기 때문이에요. 번개가 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전류가 강하게 흐르면서 섬광이 나타나는 것이랍니다. 아래 사진은 1970년 대에 캐나다에서 찍힌 지진광이에요. 이 근처에서 197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