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속도를 줄인다.마지막 역분사가 이뤄져 초당 17.3m의 속도로 미르의 속도를 줄이면 미르의 궤도는 점점 더 낮아지고, 이와 함께 지구대기권의 인력에 잡혀버린다. 이어 미르는 급 강하를 하게 되는데, 이때 마찰열로 미르의 동체는 파괴된다. 하지만 일부 튼튼한 덩어리들은 없어지지 않은 채 지상까지 ...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비롯해 미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사용하다 수명이 다한 위성들이 버려져 있다.정지궤도에 있는 방송통신위성들은 마지막에 우주쓰레기장인 ‘고려장지’까지 이동할 추진제를 꼭 남겨두었다가 이곳까지 이동한 후 일생을 깨끗하게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죽은 위성들은 고철이 됐지만 3만6천km ...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과학동아 l2001년 01호
- 부여받는다. 예를 들면 소행성 ‘세종’(Sejong)은 ‘1996 QV1’이라는 명칭이 부여된 이후 궤도를 확인, ‘7365’라는 이름으로 확정됐다. 즉 7천3백65번째로 등록된 소행성이라는 뜻.이제 발견자 본인이 붙이고 싶은 이름을 MPC에 제안할 수 있다. 발견자는 이름이 갖는 의미, 또 그렇게 명명하는 이유를 ...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과학동아 l2000년 11호
- 피랍체험은 종교적 메시지인가칼 세이건의 주장은 민속학자인 마스 E. 블라드의 주장과 궤를 같이 하는 듯하다. 그는 1989년에 쓴 논문에서 “오늘날 과학이 우리 삶에서 유령과 마녀를 축출해냈는지 모르지만, 그들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외계인들이 즉시 그 공백을 메우게 됐다”고 주장한다. ...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과학동아 l2000년 10호
- 바로 라마와의 랑데부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외계 우주선은 기본적으로 인류가 우주 궤도에 건설하려는 우주 식민지 모델과 많이 닮아 있다. 수십 km 길이의 거대한 원통이 자전하면 안쪽 표면엔 원심력에 의한 인공중력이 생기므로, 작품에 묘사된 것처럼 호수나 도시 건설이 가능하다. 또 원통 ...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이 값은 각운동량의 차원을 갖는다). 한편 스핀 각운동량의 최소 단위는 ħ/2이다. 따라서 궤도 각운동량과 스핀 각운동량을 다 합친 각운동량의 최소 단위는 ħ/2이고, 어떤 각운동량도 이 값의 정수배만 가질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플랑크 상수가 너무 작고 각운동량이 매우 크므로 거의 연속적인 ...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과학동아 l2000년 10호
- 제만효과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골몰했다. 이들의 연구는 스핀, 궤도 같은 고전역학의 개념이 적당히 섞인 중간 단계를 지나 1925년 말경에는 하이젠베르크가 기초를 세운 행렬역학으로 이어졌다.파동역학과 행렬역학이 수학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은 곧 증명되었고 물리학자들은 ... ...
- 혜성을 어떻게 찾을까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천체들과 밝기가 변한 별들을 자동으로 골라진다. 그 결과 1km 크기의 소행성이나 화성 궤도보다 더 먼 거리에 있는 어두운 혜성들이 2-3년 전에 비해 5배 이상이나 더 발견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예전처럼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혜성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는 극히 줄어들어 버렸다.여자의 긴 ...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00년 05호
- 있는 별들은 은하 초기 각운동량이 적었을 때 형성됐기 때문에 각운동량이 작고, 궤도 이심률이 크며, 은하 평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높은 곳에까지 존재하게 됐다는 것이 핵심 주장이다.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은하는 거의 구형의 회전체이며, 금속함량이 낮은 원시은하운이 거의 자유낙하 상태로 ...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과학동아 l2000년 04호
- 출발한지 12년 후인 1989년 8월 25일에는 해왕성을 탐사하고 우주로 들어가 버렸다.호먼 궤도를 이용해서 행성탐사를 할 때 행성까지 걸리는 비행시간은 수성 1백5일, 금성 1백46일, 화성 2백60일, 목성 9백97일, 토성 2천2백14일(약6년), 천왕성 5천8백70일(약16년), 해왕성 1만1천2백4일(약30년)이다. 그러나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