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d라이브러리
"
넓은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특성을 띠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다. 안 교수는 “이 연구는 우선
넓은
면적으로 프린팅한 뒤 이를 줄이는 방식으로 다운사이징에 성공해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의 구조적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면서도 “고분자이면서 수축까지 가능한 특수 재료를 써야하는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중앙해령과 관련된 괄목할만한 사실들을 발견했습니다. 대서양 한가운데에 폭이
넓은
거대한 산맥이 발달한다는 사실은 이전에도 어느 정도 알려졌지만, 연구팀은 여기에 더해 해저 산맥의 한가운데에 골짜기가 발달하고 그 분포가 해양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지점과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 ...
[과학뉴스] TESS, ‘미니 해왕성’ 찾아내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찾아냈다. 지난해 은퇴한 테스의 ‘선배’ 케플러 우주망원경보다 관측 범위가 400배가량
넓은
테스는 앞으로 2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결과는 2018년 12월 31일 논문 초고 온라인 등록사이트인 ‘아카이브’에 공개됐다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아르키메데스의 아이디어를 이용해 포도주 통의 부피를
넓은
원기둥으로 쪼개서 계산했는데, 이것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적분 개념이에요. 원기둥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은 알고 있으니 각 원기둥의 부피를 구해서 더하면 포도주 통의 부피가 되는 거예요. 비슷하게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옷감을 효율적으로 자르는 최적의 방법을 찾는 거죠. 종이를 만드는 공장에서도 크고
넓은
종이를 잘라서 A3와 A4 등 다양한 크기로 만들 때 2차원 상자 채우기 문제를 활용하면 버려지는 부분이 적게 만들 수 있답니다. 문제를 1차원으로 단순화시키면 또 다른 문제에도 활용할 수 있어요. 보통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금상첨화. 우선 녹화 장치로는 휴대전화 4대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중에서도 135도의
넓은
각도로 고해상도 영상 촬영이 가능한 LG전자의 ‘G5’ 모델을 채택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칩까지 내장돼 있으니 상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문제도 한꺼번에 해결됐다. 가장 큰 난관은 카메라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화산 진단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폭발은 한번 발생하면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것은 물론
넓은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무서운 자연재해입니다. 폭발 자체가 일어나지 않게 할 수는 없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예측하는 기술이 중요하죠. ‘화산 모형’은 이러한 화산 폭발을 예측하는 연구에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이제 90°로 꺾인 1m 폭의 복도에서 소파를 옮길 거예요. 평면에서 옮길 수 있는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소파의 모양은 무엇일까요? 이 문제는 아직까지 정답이 증명되지 않은 ‘소파 옮기기 문제’입니다. 1966년 캐나다의 수학자 레오 모저가 제시한 문제죠. 1968년에 영국 수학자 존 헤머슬리가 자신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문제는 단순히 점과 선 위에서 길을 찾는 문제에 불과하지만 활용도가 무궁무진하게
넓은
분야라는 걸 생각하며 20×20 격자의 경로 찾기를 풀어 보자. 오일러 프로젝트 15번 문제를 해결하려면? 경로 찾기 문제는 어떤 관점으로 보는지에 따라서 여러 가지 해법이 있을 수 있답니다. 가장 많이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자동차의 저주파 소음이 우리 노랫소리를 방해하기 때문이야. 그래서 주파수 영역이
넓은
‘크릭’ 소리를 더 많이 내는 거지. 일리 : 다른 이유도 있니? 퉁가라개구리 : 응. 암컷 개구리들이 ‘크릭’ 소리를 더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해. 하프베르크 교수팀이 도시 개구리와 숲속 개구리의 노래를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