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출"(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화이트해커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멋대로 움직여 교통사고를 내고, 로봇청소기로 집안 구석구석을 촬영해 사생활을 노출시킨다면 큰일이겠죠? 그래서 세계는 지금, 악성 해커보다 먼저 암호의 취약점을 발견하는 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 2017년 5월 열린 국제전기전자기술협회(IEEE) 보안과 개인정보 심포지엄에서 스마트 전구가 좀비 ... ...
- [과학뉴스] 화성의 얼음 퇴적물, 3차원으로 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경사면 8곳을 관찰했다. 그 결과 얼음이 마치 눈처럼 층층이 쌓여 퇴적됐으며, 표면에 노출된 얼음은 암석과 분진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순수한 얼음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 결과는 화성 기후의 역사를 밝히고, 향후 화성 유인 탐사 과정에서 얼음을 쉽게 구하는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생산하지 못하도록 형질을 전환한 닭을 개발했다. 이 닭은 고병원성 AI 바이러스에 노출돼도 감염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1년 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1198020 이와 비슷하게 국내에서는 지난해 9월 국립축산과학원과 성균관대, 아주대 의대, 건국대 ... ...
- Intro. 안전한 스마트시티 만들 숨은 튜링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암호입니다. 암호체계에 구멍이 나면 걷잡을 수 없는 사고에 노출되고 마니까요. 스마트시티 시대를 코앞에 둔 지금, 세계는 숨은 튜링 찾기에 발 벗고 나섰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군의 암호를 해독해 연합국이 승리하는 데 크게 일조한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처럼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일본은 겨울 교복도 반바지로 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추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추위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는 데에도 유리합니다. 1970년대 중반 이전만 해도 한국 해녀는 면으로 된 수영복 하나만 걸치고 물질을 했습니다. 이 교수팀이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15년 제22권 제3호에 발표한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보가 유출될 경우 생체 정보를 다시는 활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비밀번호가 해킹으로 노출됐다면 다시 만들면 그만이지만, 내 홍채 정보가 유출됐다고 해서 홍채를 다시 만들 순 없는 노릇 아닌가. 다중생체인식 시스템은 홍채와 지문 등 여러 생체 정보가 합쳐진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정보가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에어스는 헤드라인과 속보처럼 누구나 봐야 하는 기사는 관심분야가 아니더라도 바로 노출되도록 만들었다. 네이버 쇼핑에서도 추천의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네이버는 2016년 11월 딥러닝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인 ‘에이아이템즈(AiTEMS)’를 개발해 패션 분야에 시범 적용했다. 그 결과 서비스를 ...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밤낮의 변화를 인식하고 호르몬과 수면 리듬을 조절해요. 그래서 청색광에 많이 노출될수록 우리 뇌는 밤을 낮으로 인식해 멜라토닌을 적게 분비하지요. 그 결과 밤에도 잠들기 어렵게 된답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에 방해가 될 수도 있어요. 성장호르몬은 근육량을 늘리고 뼈를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우리나라는 주요 20개 국가 중 두 번째로 빛 공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빛 공해에 노출된 지역이 전체 국토의 약 89%로, 90%인 이탈리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답니다. 강원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김훈 교수는 “우리나라는 특히 골목에 있는 보안등과 광고 조명이 눈이 부실 정도의 빛을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큐브샛은 효모를 사용해 생물체를 찾고, 미생물이 우주의 방사선에 노출됐을 때 얼마나 오래 생활할 수 있는지 알아볼 거예요. 소행성을 관측하는 큐브샛도 있어요. ‘지구 근접 소행성 정찰 프로젝트’는 지구로부터 1●AU안에 있는 소행성을 관측할 예정이에요. 큐브샛에 있던 닻을 펼친 뒤,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