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행
행운
다행다복
d라이브러리
"
다행
"(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살자'는 벤처 정신으로 무장되지 않는다면 평범한 연구원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천만
다행
으로 당시 유전공학연구소는 그를 밀어주는 분위기였다.강의부담이 거의 없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인데다 9명의 교수 모두 미국의 벤처열풍을 눈으론 본 젊은층이었기 때문에,김교수의 열정과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옥텟 규칙에 따라 이중결합을 하는 산소 분자가 단일결합을 하겠다고 고집피우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아마도 연소와 같은 산화 반응이 훨씬 빠른 속도로 일어날 것이다.몸 속의 ... 때문에 더 빨리 죽을지도 모른다. 원소들이 옥텟 규칙을 준수하는 것은 이래저래 아주
다행
한 일이다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아마도 섭취하는 화학물질 중에서 산소는 물 다음으로 많은 분자가 아닐까. 그래도
다행
인 것은 전세계의 인구가 공짜로 산소를 마실 수 있다는 점이다. 산소가 공기 중에 20%나 들어있기 때문이다.그런데 산소 앞에 ‘활성’이란 이름이 달라붙으면 산소의 이미지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이된다. ... ...
벤처의 출발점 자신을 못견디게 하는 그 무엇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사이버 캐릭터에 입혀야 하는데,선뜻 춤을 전수해주겠다는 사람이 나서지 않은 것이다.
다행
이 사구 '베이비복스'의 안무가와 연결돼 춤을 받을 수 있었다.스페이스 일루젼에는 다시 활기가 돌았다.수십개의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춤동작을 사이버 캐릭터에게 옮기느라 귀가시간이 점차 늦어지다가 ... ...
Ⅳ. 신화/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신화가 조상회귀를 위한 길라잡이가 된다는 것은 여간
다행
한 일이 아니다. 신화는 다른 것은 몰라도 적어도 시작에 관해서는 큰소리 칠만하다. 왜냐하면 신화는 ‘시작의 시작’에 대해서 얘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령 동화가 “옛날 옛날 아주 오래된 옛날에…”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1969년 처음 수상자를 낸 노벨경제학상의 경우 여성이 한명도 없는 것에 비하면 그나마
다행
이라고 할까.노벨상의 명가 퀴리과학자로서 최초의 노벨상을 수상한 여성은 프랑스의 마리 퀴리(1867-1934)다. 그녀는 1903년 지도교수인 앙리 베크렐(1852-1908)과 남편 피에르 퀴리(1859-1906)와 더불어 ... ...
첨단 도청 기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것을 확인했다”.문제는 두 전화기의 플립이 얼마나 동시에 열리느냐이다. 한가지
다행
인 것은 플립을 동시에 열더라도 도청자는 이동전화기로 들어오는 소리만 들을 수 있을 뿐 나가는 소리는 듣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비효율성 때문에 헥사코드가 복제된 이동전화는 실 가입자 몰래 도둑통화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둥지가 나타났다. 세어보니 12개의 타원형 공룡알이 동심원상으로 배열돼 있었다.불행 중
다행
으로 지표에 노출된 둥지의 윗부분은 이미 풍화됐지만 지층 속에 박혀있는 나머지 부분들은 완전하게 보존돼 있었다. 둥지의 완전한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일단 가장 잘 보존된 공룡알 한개를 조심스레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마시는 ‘임상실험’을 강행했다. 모인 사람들은 이를 보고 깜짝 놀랐으나 천만
다행
으로 페텐코퍼는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고 무사했다.콜레라균을 마셨음에도 무사했으니 이는 세균감염설에 대한 강력한 반대 증거가 될 것 같았다. 하지만 상황은 그렇게 흘러가지 않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 ...
2. 태양빛에서 형광색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그 중 파장이 3백80nm - 7백80nm (1nm=${10}^{-9}$ m)에 해당한다(그림1).
다행
인지 불행인지 사람은 이 영역의 빛만을 느낀다. 자외선 영역의 빛을 볼 수 있는 방법도 있다. 눈의 수정체나 수정체낭이 회백색으로 탁해져 투명성을 잃는 백내장의 경우에 그 치료법으로 혼탁한 수정체를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