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로"(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입력을 의미하는 빨간색 ‘c’ 버튼과 출력을 뜻하는 보라색 ‘Go’ 버튼을 순서대로 누르면 노래에 맞춰 뚜뚜가 자유롭게 움직여요. 이 기능을 사용하면 방향 코딩을 잘 모르는 어린 동생들도 쉽게 순서의 개념을 익힐 수 있답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것으로도 유명해요. 구피는 집에서 흔히 기르는 열대어로 베네수엘라가 고향이에요. 원래대로라면 우리나라 하천에서는 볼 수 없는 종이지요. 지난 9월, 지구사랑탐사대는 김수환 박사님이 구피를 처음 발견한 경기도 이천 죽당천으로 외래종 탐사에 나섰어요. 하천으로 뛰어든 지 채 10분도 지나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외쳤어요. “으아악! 모르겠어! 우리가 게임 속에 있어서 그런가 봐! 이걸 어떻게 원래대로 돌려놓지?”그런데 그때, 수호의 말이 끝나자마자 멀리서 채윤이를 향해 파란색 원반이 날아왔어요.“어? 저건 두 번째 아이템? 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사용해 보자!”채윤이가 잽싸게 파란색 원반을 잡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으로 만드는 예술 퍼즐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꼭짓점과 3개의 면이 모이는 꼭짓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랍니다. 틈틈이 이 규칙대로 연결했는지 확인하면 좀 더 수월하게 퍼즐램프를 완성할 수 있을 거예요. 나만의 퍼즐램프를 완성해 보세요! 퍼즐램프는 마름모 조각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어요. ... ...
- [과학뉴스] 팔이 하나 더 있다면? 세번째 팔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동시에 로봇팔로 물병을 잡게 시켰어요. 그 결과 15명의 참가자 중 8명이 로봇팔을 제대로 작동시켰지요. 연구팀은 여러 일을 동시에 수행하는 능력이 뛰어날수록 로봇팔을 잘 움직였다고 분석했어요.이렇게 뇌의 신호를 사용하여 기계를 움직이는 기술을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Brain-Machine Interface ... ...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특징과 머문 지역, 취업 성공 여부 등을 학습 자료로 사용했어요.인공지능이 추천한 대로 난민을 배치해 취업률을 계산한 결과, 기존보다 73%나 올릴 수 있었어요. 난민의 취업률이 높아지면 경제가 활성화될 거라 생각한 스위스는 가을부터 인공지능을 시범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답니다. WFP는 200 ...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 앞을 총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종이 얼마나 서식하는지 조사하는 일이었다. 양서파충류 조사 외에도, 여력이 되는대로 다른 조사에 종종 참여했다. 그렇게 6주간 머무르며 관찰한 동물은 척추동물만 해도 106종 273마리에 이르렀고, 발자국이나 소리, 흔적, 무인카메라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한 동물까지 합하면 그 수는 훨씬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제 코가 곧 길어질 거예요.” 피노키오, 모순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말하는 경우에도 이 규칙을 따라요. 그럼 재미있는 결과가 나타나지요. 피노키오는 말한대로 코가 길어졌다가 참말을 하면 코가 길어지지 않는 규칙에 따라 다시 코가 짧아져요. 하지만 이내 다시 “코가 길어진다”는 말이 거짓말이 되니 코가 길어지겠죠. 이런 식으로 피노키오의 코는 길어졌다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아니라 시선의 방향, 행동인식, 목소리 인식 기술 등이 모두 함께 발전해야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중원 서울시립대 철학과 교수는 “철학적으로는 AI한테 감정이 있는지 없는지를 묻는 것 자체가 헛된 질문일 수 있다”며 “AI가 마치 감정이 있는 ... ...
- part 2. 최석정 마방진의 비밀은 ‘대칭’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보다 흥미로운 점이 많습니다. 그 중 한 가지가 바로 ‘대칭성’이에요. 앞서 살펴본 대로 최석정은 크기가 같은 두 라틴방진을 합쳐 직교라틴방진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두 라틴방진을 살펴보니 ‘거울대칭(좌우대칭)’인 것 아니겠습니까? 오른쪽 아래 보이는 첫 번째 라틴방진을 거울에 비치면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