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양"(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생각이 가능하다. 따라서 태어난 시점을 바탕으로 인간의 미래를 점치려 했는데, 동양에서는 이 방법을 ‘사주팔자’라고 한다.사주란 년(年), 월(月), 일(日), 시(時)를 말하는데, 이 뒤에 두개의 글자로 된 ‘간지’가 붙어(4×2=8) 팔자를 이룬다. 간지에는 10간과 12지가 있다. 우선 10간은 1부터 1 ... ...
- 메이슨 과학의 역사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역사를 진보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다.이 책은 모두 6개의 부(제1부 고대의 과학, 제2부 동양과 중세의 과학, 제3부 16∼17세기의 과학혁명, 제4부 18세기의 과학 - 국가적 과학전통의 발전, 제5부 19세기의 과학 - 산업과 지적변화의 주체, 제6부 20세기의 과학 - 새로운 영역과 새로운 권력)로 나눠졌으며 ...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넓혀줌으로써 가능한 한 보의 경간을 줄이려고 했다. 이같은 기둥 끝처리 기법은 동양 목조 건축의 공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스 신전은 당초 목조였기 때문에 재료만 화재에 견디는 돌로 바뀌었을 뿐 그 방법은 목조의 그것 그대로다. 그러나 지붕만큼은 무거운 돌로 바꿀 수가 없었다. 이것이 ...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암연구소 등에서도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접목방법을 연구 중이다.서양의학의 단점과 동양의학의 부족한 점을 서로의 입장에서 보완하려는 움직임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물론 암을 극복하기 위한 한·양방의 병용치료는 아직 부족한 점과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다. 하지만 이런 노력이 ...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마음을 잘 조절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예로부터 정신세계에 대해 관심이 많았던 동양에서는 마음을 다스리는 여러 명상법이 발달했으며 관심법, 독심술 또는 관상으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엿보고자 했다. 이런 노력들은 모두 주관적인 방법에 의존하기 때문에 타당성을 인정받기가 어려웠고 비 ... ...
-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연구의 세계적 중심이 되고 있다.니덤은‘중국의 과학과 문명’이외에도‘위대한 적정: 동양과 서양의 과학과 사회’(The Grand Titration: Science and Society in East and West, 1969),‘ 중국의 학자와 장인’(Clerks and Craftsman in China, 1970), 그리고 우리나라의 천문학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비교적 밝은 별이 그 뒤를 따라가는데, 덩치 작은 일꾼으로 변신했던 이 별은 바로 동양에서는‘하늘나라 토목공사를 맡은 고위관리’인 토사공이라 부르는 별이다. 서양에서는 고래자리의 버금별 데네브 카이토스로 불린다.또 덩치 작은 일꾼이 끌고 간 큰 소는 바로 하늘곳간 천창 별자리다. 천창 ...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많은 참가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일은 도올 김용옥의 학회 참석과 특별 강연이었다. 동양의 고사성어인 대기만성(大器晩成)을 “큰 그릇은 절대 채워지지 않는다”고 새롭게 해석하면서 여기에서 언급된 큰 그릇(大器)이 바로 끝없이 물질을 삼키는 블랙홀에 비유될 수 있음을 강연했다. 도올은 ... ...
- 옛사람이 들려주는 우주생성 신화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지구중심설이니 태양중심설이니 하는 서양의 것이 있고, 개천설, 혼천설과 같은 동양의 것이 있다.우리조상은 우주의 발생에 대해서, 비록 그것이 근대과학 이전의 소박한 이론이긴 해도, 나름대로 독창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고대인의 우주생성론은 특히 신화로 전해 내려온다. 현대 자연과학이 ... ...
- 약되는 독, 독되는 약과학동아 l2001년 09호
- 흔히 인식되는 ‘독성이 있는 물질’이라는 의미와는 사뭇 다르다. 한의학을 비롯한 동양의 고전 서적에서 사용하는 독약이라는 말은 대체로 세가지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첫째, 독약은 모든 한약을 총칭하는 말로 사용됐다.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 준 신농씨는 사람들에게 먹어야 할 것과 먹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