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팩트체크7. 오염된 수산물이 식탁에 오를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방류 상황을 가정한 모델링 연구다. 하지만 모델링은 실제 상황이 아니다. 현실에서는 모든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❹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자체 인체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반대도 아니었습니다. 박 교수의 대답을 그대로 실으며 기사를 마칩니다. “생명체의 모든 형질(외모, 성격, 질병감수성 등)은 유전자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유전자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전자의 발현은 후성유전체에 의해 후천적으로도 조절되며, 후성유전체는 잘 변하지 않는 ... ...
- [지웅배의 최애은하] 암흑물질의 비밀을 관통한 총알 은하단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중력으로 은하 속 별들을 붙잡아주는, 은하 생성의 가장 중요한 재료다. 우주의 거의 모든 은하는 이 미지의 암흑물질을 가득 머금고 있다. 그런데 암흑물질이 전혀 없는, ‘암흑물질 프리(Dark Matter Free)’ 은하라니 이것이 대체 어떻게 가능할까? 비밀을 파헤치려면 우선 각 꼬마 은하까지의 정확한 ... ...
- [이그노벨상] 롤러코스터와 아이스크림으로 질병을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시범을 보였다. 하지만 다른 분야의 이그노벨상이 그렇듯, 이그노벨상 의학상을 받은 모든 치료법이 실용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2022년에는 롤러코스터만큼 엉뚱하지만 실용성 있는 치료법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마르신 야신스키 폴란드 바르샤바 의대 연구원팀이 가지고 온 ‘아이스크림’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내가 과학을 좋아한 건 언제부터였을까? 어린 시절 기억을 더듬어봐도 아빠가 사다주신 어린이용 영어 교재나 천자문 정도 외에는 떠오르지 ... 상상해본다. 그리고 좋아하는 과학을 향해 각자의 속도로 꾸준히 나아가는 이 세상 모든 전공자들을 떠올려 본다. 진심으로 응원하는 마음으로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이야기하고 있지만, 모든 기하학 문제가 대수학으로 풀었을 때 더 편하다거나 반대로 모든 대수학 문제가 기하학으로 풀었을 때 더 쉽다는 건 당연히 아니에요. 오히려 많은 경우 기하학 문제는 기하학으로, 대수학 문제는 대수학으로 풀어야 더 편하지요. 그렇지만 기하학과 대수학의 통합이 ... ...
- [전지적 독자 시점] “작년 누리호 포스터가 인상깊었어요! 이번 기사도 기대돼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많다는 뜻이겠죠. 김태희 기자가 현장 취재를 갔고, 서울에 있는 편집부도 성공 여부에 모든 촉각을 기울였습니다. 발사가 실패하면 기사를 미뤄야 하는 거 아니냐는 (농담 아닌) 농담도 하면서 말이죠. 나머지 하나는 코앞에 다가온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우리의 실생활, 건강과 연결되는 주제인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신경세포가 정확히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우리 몸의 모든 신경세포는 전기신호의 강약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신호의 발생 빈도(주파수)를 통해서 감각을 느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신경세포는 아날로그 신호 체계가 아니라 디지털 신호 체계인 전기 ... ...
- [뉴스&인터뷰] 내핵 속에 핵이 하나 더? 교과서에 없는 지구 속 구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본 적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말 지구 내부 구조가 이렇게 단순하고 깔끔하게 생겼을까? 모든 과학이 그렇듯 우리가 상식처럼 여겼던 지식은 지금 이 순간에도 조금씩 바뀌고 있다. 지질학자들과 함께, 생소한 지구 속으로 여행을 떠나보자. “이곳이 대전 지진 관측소입니다. 별 거 없죠?” 조창수 ... ...
- 우리 동물원, 어떻게 고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검사관이 직접 방문해서 동물원을 평가할 예정입니다. 마 교수는 “수 천 종이 넘는 모든 동물마다 평가기준을 하나하나 명확하게 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검사관이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동물원을 평가한 검사관은 우선순위에 따라 고칠 부분을 안내해 동물원이 더 나아질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