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자"(으)로 총 1,0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즉, 중력파를 이용하면 우주를 보는 시야가 훨씬 넓어지는 거예요.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은 40여 년 간의 노력 끝에 마침내 중력파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천체물리학에서 혁명을 이뤘다”고 평가했지요 ... ...
- [과학뉴스] 걸으면서 커피 쏟지 않으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보름 정도 전에 발표되지요. 올해는 지난 9월 14일에 수상자가 발표됐어요. 이중 한국인 수상자도 있었지요. 그 주인공은 미국 버지니아주립대학교 물리학과에 재학 중인 한지원 씨예요. 한 씨는 민족사관고등학교에 다니던 시절 ‘약한 충격이 있을 때 커피가 넘치는 현상 연구’란 제목의 15쪽짜리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다. 이 소식을 접한 기자는 지난 10월 프랑스 남부에 있는 몽펠리에를 찾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관측한 중력파와는 성격이 다르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은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같은 천체들이 병합되면서 방출하는 중력파를 측정한 것이고, 호킹이 연구한 중력파는 빅뱅을 비롯한 우주 초기 급팽창 시기에 방출된 중력파를 말한다. 2014년 미국 하버드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수학자가 되셨나요?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반가워요! 저는 병역 의무로 모 회사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한 적이 있어요. 하지만 재미가 없었어요. 자기만족을 조금 더 중요하게 여겨서 전역한 뒤에 수학을 열심히 공부해 보자고 다짐했어요. ... ...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대상으로, 지역 부문은 뉴욕, 뉴저지, 코네티컷 세 지역의 박사후과정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뽑습니다. 올해 지역 부문에서는 28개 연구기관에서 추천한 161명의 후보가 각축을 벌였어요. 허준이 박사는 50년 동안 풀리지 않던 ‘로타 추측’을 수학의 전혀 다른 분야를 이용해 증명한 공로로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번 더 실리게 됐으니 그의 말이 어느 정도는 사실이 된 셈이다. 덕분에 기자도 노벨상 수상자를 1년 일찍 만났다는 흐뭇한 기억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이미지 출처: Columbia University, MRC LMB, Felix Imhof ⓒUNIL,ⓒ Martin Hogbom/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날렸다. 국내에서도 매번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내용이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일본은 미국 국적 2명을 포함해 지금까지 22명이 노벨상을 받았고, 이 중 17명은 2000년 이후에 나왔다. 하지만 마냥 부러워만 할 일은 아니다. 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오스미 요시노리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생체시계 연구 초기의 이 같은 전사-번역 되새김 고리 모델은, 이번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뿐만 아니라 필자를 포함한 여러 과학자들이 후속 연구를 통해 계속 개선하고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전사를 조절하는 생체시계 유전자들이 3개의 전사-번역 되새김 고리로 서로 맞물려 있으며,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없을 때가 많아서일까. 인간의 속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올해 수상자 목록에 올랐다. 치즈를 싫어하는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연구해 뇌가 혐오감을 느끼는 과정을 연구한 장-피에르 로이트 프랑스 리옹신경과학연구센터 박사팀이 의학상을 받았고, 나이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