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d라이브러리
"
수증기
"(으)로 총 84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APR1400 개발과정에서 한수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자들은
수증기
와 냉각수의 상호 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없이 반복해야 했다. ARP1400의 실물을 5분의 1로 축소한 ‘MIDAS’라는 모의실험장치도 만들었다.한국 원전이 프랑스를 누른 비결에는 첨단 정보기술(IT)의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관측 및 감지 위성인 엘크로스(LCROSS)에서 분리된 로켓이 크레이터에 충돌하면서
수증기
와 얼음의 고유한 스펙트럼이 관측된 것. 아울러 일산화탄소, 메탄, 메탄올의 존재도 확인돼 물과 얼음이 과거 달에 충돌한 혜성이나 소행성에서 왔음을 시사하고 있다.유전자치료 부활작동하지 못하는 유전자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실도 알아냈다. 미국 햄프턴대 제임스 러셀 박사는 “야광운이 먼지 입자와
수증기
가 대기 중으로 올라가 차가운 대기 중간층과 만나 얼음이 되면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재미있는 사실은 북반구와 남반구가 여름과 겨울일 때, 또는 그 반대일 때 야광운에 변화가 생긴다는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다만 집중호우가 특히 잘 생기는 곳을 미리 짐작해 볼 수는 있어요. 바로 산이 있는 지역!
수증기
를 잔뜩 머금은 공기가 움직이다가 산을 만나면 산을 타고 위로 올라가서 비구름이 되거든요. 실제로 지난 100년 동안 태백산맥 주변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사막 공기의 고작 1억 분의 1 정도만큼
수증기
를 포함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 희박한
수증기
가 먼지 입자에 붙어 구름이 형성되려면 온도가 아주 낮아야 한다. 무려 영하 120℃ 아래로 떨어져야만 한다.야광운이 대류권 위의 성층권이 아니라 중간권에 생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성층권은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자연스러운 물 흐름을 막는 것도 갯녹음의 원인이 된다. 바닷물은 증발하면 대기 중에
수증기
로 머물다가 다시 빗물로 내린다. 빗물은 다시 육지의 미네랄 성분을 담아 바다로 들어오는데, 이 물이 수온과 염분을 낮추고 영양염을 공급해 해조류가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로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온실효과 때문에 기온이 상승하고, 상승된 기온은 다시 기권으로 공급되는
수증기
의 양을 증가시킨다. 다른 양성 피드백의 예로 빙하를 들 수 있다.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빙하의 면적이 감소하고, 빙하면적의 감소는 지구 표면의 태양복사 에너지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반사율이 감소한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노력은 예전부터 있었다. 특히 해수를 끓이면 나오는
수증기
를 모아 담수를 얻는 ‘증발’ 방식은 이미 한국이 세계 1위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김 교수가 제안하는 방식은 이와 다르다. 해수를 얇은 막에 통과시켜 염분을 걸러내는 ‘역삼투’ 방식이다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다르기 때문이다. 강력분은 주로 빵을 만들 때 쓰는데, 발효과정에서 생긴 이산화탄소나
수증기
가 촘촘한 글루텐 그물망에 갇혀 빠져나가지 못해 빵이 잘 부풀기 때문이다.실제로 다른 조건은 똑같이 두고 밀가루만 달리해 빵을 만들어 보면 강력분이 가장 많이 부풀고 박력분이 가장 덜 부푼다.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는 지구상에서 가장 뜨거움을 잘 견디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물은 보통 100℃에서 끓어
수증기
가 되지만 심해저는 압력이 높아 끓는점도 훨씬 높기 때문에 그 이상 온도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 폼페이벌레는 뜨거운 물이 차가운 바닷물과 섞여 80~120℃ 정도 되는 곳에서 산다.1973년에 호주에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