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연"(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과학동아 l1987년 07호
- 적당량에서는 강한(센)맛이 난다. 과다하면 짠 맛이나고 미량이면 아릿한 맛이난다. 아연이나 철은 얼얼한 맛의 원인이된다. 소다수에서 알수 있듯이 탄산가스는 물에 청량감을 준다. 또 황산이온은 칼슘의 양을 줄여 물맛을 나쁘게 하는수도 있다. 미네랄 성분이 너무 많아도 좋지 않다. 유럽의 물은 ... ...
- 한국화약 그룹 연구소과학동아 l1987년 07호
- 음료용 용기를 염두해 둘 때 먼저 떠오르는 것은 위생상의 문제이다. 한 연구원은 칼슘 아연등을 안정제로 PVC캔에 첨가했다고 전한다. 모두 FDA에서 안전성을 보장하고 있으므로 식품위생상 하자가 없을 것이라고 자신한다. 화학합성품 연구실의 관심은 공정연구와 유도체 개발에 쏠려있다. PVC의 ... ...
- 내년 2월까지 60억들여 남극에 연구기지 세운다.과학동아 l1987년 06호
- 이어진다. 안데스산맥과 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의 산맥들의 특정 암석군이 철, 구리, 아연 등 중요한 금속의 광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남극대륙에도 그러한 금속이 매장되어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또 남아프리카의 암석이 천연자원을 아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 ...
- 욕심장이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과학동아 l1987년 06호
- 자그마한 연구실을 차려놓고 밤낮을 보내기 시작했다. 그가 12살되던 해에 하루는 아연조각에 황산을 부어 수소를 만드는 실험을 하다가 플라스크가 폭발해서 유리조각이 팔목에 박힌 일도 있었다. 그는 고등학교시절 마지막해에는 학교를 빼먹는 대신 미 국회 도서관에 쳐박혀 핵물리학책을 읽고 ... ...
- 공해없는 꿈의 차 전기자동차는 어떤 것인가과학동아 l1987년 05호
- 있는 납축전지는 40Wh/kg인데 비해 철·니켈 알칼리전지는 60Wh/kg, 니켈·아연전지는 70Wh/kg, 아연·염소전지는 170Wh/kg, 나트륨·황전지는 200Wh/kg 등으로 에너지밀도가 높다. 납축전지 이외의 축전지들은 가격이 비싸다든가 실용화 기술의 미흡 등 원인으로 아직 일반화되고 있지 못하나 조만간 ... ...
- 생태계, 소리없이 운다과학동아 l1987년 03호
- 물고기를 떼죽음시키는 것이다. 물이 산성으로 되면 알루미늄 뿐만 아니라 카드뮴 아연 납 등이 쉽게 물에 녹아 들어가 동식물에 침투하게 된다. 호수 산성화의 대책으로 현재 석회를 대량으로 퍼부어 물을 중화시키고 알루미늄 이온을 침전시키고 있으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산성화의 지연책일 뿐 ... ...
- 생명의 우산에 구멍이 뚫리고 있다과학동아 l1987년 03호
- 걱정스레 관찰하던 과학자들은 이제 북극의 상공에도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을 보고 아연했다. 오존층 파괴의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시급한 대책의 수립도 국경을 넘어 모색되고 있다. 지난 85년 비엔나에서 체결된 유엔오존층보호협약은 그 예이다.불화염화탄소 등이 원인 ... ...
- '라보아제'가 몰고온 화학혁명 연금술에서 근대화학으로과학동아 l1987년 03호
- 아리스토텔레스의 원소전화 사상에서 비롯한 것으로 값이 싸고 천한 금속(구리 아연 철 납 등)을 적당히 처리하여 값 비싸고 고귀한 금속 즉 금으로 만들어 보려는 환상적인 사상이었다. 다시 말해서 화학연구의 목표가 오로지 금을 만드는데 있었다. 이 사상은 고대부터 기원하여 중세 1천년 동안을 ... ...
- 남극조약에 가입하다 올해부터 기지건설추진과학동아 l1987년 01호
- 백억t이상의 철광석이, 남극반도에는 구리와 금, 은, 니켈, 망간, 몰리브덴, 우라늄, 백금, 아연, 주석, 티탄등이 매장되어 있다.수산자원으로는 단백질이 풍부한 남극새우 '크릴'이 로스해등 해역에 50억t이상이나 서식하고 있다. 1961년 소련이 최초로 크릴어장조사를 착수, 현재 연간 50만t씩 포획하고 ... ...
- 신금속과학동아 l1986년 10호
- 매장량 순위별로 보면 규소알미늄, 철, 마그네슘, 티타늄, 망간, 바나듐, 크롬, 니켈, 아연, 구리 순이다. 금속재료 중 가장 널리 그리고 많이 쓰이고 있는 금속은 철이고 그 다음이 알미늄이다. 철이나 알미늄 등의 순수 금속은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실제 구조재료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
이전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