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쪽"(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Cl-)은 밀어내고나트륨 이온(Na+)은 끌어당겨 표면에 달라붙게 만든다. 그래서 염분은뿌리 안쪽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물만 흡수된다. 90% 이상의 염분이뿌리에서 걸러지고, 나머지는 잎에서 소금 덩어리로 배출된다. 이상준 교수는 “이 방법은 소금을 걸러내는 효율이 매우 높고, 역삼투압법과 달리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 공로로 세 사람은 2001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초유체 상태인 액체 헬륨이 컵 안쪽의 벽을 타고 올라 바깥쪽으로 흘러 내리고 있다(노란 화살표).컵이 완전히 빌 때까지 이런 움직임이 계속된다.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는 그 자체로도 흥미롭지만, 사실 더 중요한 특성이 있다. 자성이 없는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은 부분에서 수증기가 더 빨리 더 많이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칼집이 난 부분의 안쪽에는 구멍이 크게 생긴다. 칼집을 하나만 내 커다란 구멍 한 개가 뻥 뚫려 있는 것보다는 나뭇가지 모양으로 칼집을 내 크고 작은 구멍이 골고루 나 있는 빵이 훨씬 더 맛있게 느껴졌다. 구멍 크기가 비교적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 결과 컵 안의 압력은 컵 밖의 압력인 대기압보다 작아지고, 이 차이만큼 컵 밖에서 안쪽으로 물이 밀려 올라간다.실험 방법 둘. 착시를 이용하라!원리: 스피커에서 28Hz의 소리가 흘러나오면, 스피커는 1초에 28번 진동한다. 동시에 스피커에 고정된 호스도 함께 진동하며 물줄기는 S자 파형을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토기마다 반죽을 넣고 모닥불 주위에 쌓거나, 커다란 항아리 화덕 안에 불을 지펴놓고 안쪽 벽에 반죽을 붙이거나 불 가까이에 반죽을 놓았다. 그만큼 빵이 까맣게 타버릴 가능성도 높았다.고심 끝에 일반 오븐에서 스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반죽을 굽기로 했다. 일반 오븐에서는 반죽에 열을 직접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모임’을 말해요. 모양을 보면 세로로 서 있는 두개의 선이 안쪽으로 굽은 상태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지요. 이 선들이 ‘쌍곡선’으로 불리는 이유는 한자어를 보면 알 수 있어요.‘쌍(雙)’은 새를 뜻하는 ‘새 추(隹)’ 두 개와 오른손을 뜻하는 ‘오른쪽 우(又)’가 ... ...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보라‘평면 위에 시작점과 끝점이 같고 중간에 교차하지 않는 곡선을 그리면 평면이 안쪽과 바깥쪽으로 나뉜다’가 조르당이 증명한 곡선 정리랍니다. 당연한 이야기 아니냐고요? 맞아요. 조르당의 곡선 정리는 참이에요. 하지만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모든’ 곡선이 그렇다고 증명하기는 쉽지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동영상부터 보자. 반투명한 고무풍선처럼 생긴 물건 안으로 빨간 물감을 주입하자, 풍선 안쪽의 혈관(?)이 드러난다. 구석구석 흐른 빨간 물감이 곧 밖으로 뚝뚝 떨어진다. 쥐 같은 작은 동물의 심장 같기도 한 영상 속 물건은 놀랍게도 시금치 이파리다. 두 번째 영상은, 이 하얀 이파리에 키운 사람의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특징을 선별해 각각의 특징에 점수를 매겼다. 그 결과 수각류와 조반류 공룡에서 콧구멍 안쪽에 위치한 뇌공, 턱의 후방 표면에 세로로 날카롭게 솟은 뼈의 모양, 눈의 천공가장자리와 떨어진 광대뼈 등 21개의 유사점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수각류와 조반류를 함께 포함하는 새로운 분류군인 ... ...
- [과학뉴스]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별들과 성간 가스, 먼지 구름 등이 빽빽하게 모여 있어요. 별들이 탄생할 때는 성운 안쪽으로 수소 기체가 모여들지요. 이때 별들의 뜨거운 에너지가 주위 수소 기체로 전달돼요. 그 결과, 태양 에너지보다 약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며 붉게 빛나게 된답니다.이번에 발표된 성운들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