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면
전방
앞면
앞
프런트
전
이전
d라이브러리
"
앞쪽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축 발은 발목을 정확하게 구부려 자신의 바로 아래쪽에 축이 놓이도록 한다. 팔은 약간
앞쪽
에 두어 양어깨가 앞을 향하도록 한다. 특히 브레이크 쪽의 어깨는 정확히 정면을 향해야 한다. 어깨선이 정면을 향하지 않으면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리므로 브레이크 발이 땅에 닿는 순간 그쪽으로 ... ...
기상천외한 곤충의 감각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발견됐다.수리거미과에 속하는 거미들은 대부분 8개의 눈을 갖고 있는데, 이 가운데 등
앞쪽
에 있는 한쌍의 눈은 마치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해 거미가 집을 제대로 찾아올 수 있게 한다. 수리거미의 이같은 특징을 발견한 스웨덴 룬트대의 마리 데커 박사팀은 수리거미가 특히 해질녘과 해뜰녘에 ... ...
모험이와 슬기 비행왕 되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옆면이 앞으로 향하게 던지면 단면적이 커서 공기 저항을 받아 잘 날지 못한다.긴 풍선
앞쪽
에 종이리본을, 뒤쪽에 날개를 달아주면 구조가 안정적이 돼 더욱 멀리 날아갈 수 있다. 빨대 비행기처럼 앞의 리본은 무게중심을 압력중심보다 앞에 있게 하기 위해서다. 비행중 로켓이 흔들리면 잘 ... ...
골프공이 포물선을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둘레로 포물선 모양의 벽이 있다. 그리고 구멍은 이 포물선 벽의 가운데 지점에서 조금
앞쪽
에 있다. 골프공을 구멍쪽으로 보내지 않고, 포물선 벽의 중심과 구멍을 잇는 선(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벽을 향해 치면 골프공이 벽과 만난 후 구멍이 있는 곳으로 굴러간다. 어느 위치에서 하건 상관없다. ... ...
뜨거운 6월 태양 가리는 부분일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도중 열을 받으면 깨질 위험이 높아 매우 위험하다. 그러므로 태양필터는 반드시 망원경
앞쪽
바깥에 부착하는 필터라야 안전하다. 만일 태양필터가 없이 천체망원경으로 일식을 관측하겠다면 투영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투영법이란 눈으로 직접 들여다보지 않고 흰 백지에 태양 모습을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모습이 궁금해진다.1995년 허블우주망원경이 가시광선으로 검은 독수리의
앞쪽
을 겨누자, 머리와 두 발이 나란히 기둥처럼 뻗은 놀라운 영상이 나타났다.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최대걸작품으로 일반인의 많은 주목을 받았다. 우뚝 서있는 검은 기둥이 너무 정교하게 깎은 조각품처럼 무척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물체의 공기 압력은 앞에서 정지상태보다 커지고, 뒤에서 작아지기 때문에 압력이 큰
앞쪽
에서 작은 뒤쪽으로 힘이 작용한다.공기압에 의한 저항은 사이클선수를 뒤로 끈다. 평지를 질주하는 경우 공기압력에 의한 저항이 속도를 제한하는 가장 큰 골칫거리이다. 그리고 페달을 돌릴 때 발생하는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마찰력을 조절하는 것이고 토사이드 슬라이딩 은 이와 반대로 발가락(toe) 쪽에 힘을 줘
앞쪽
엣지를 조절하는 것이다.사이드 슬라이딩이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이제 본격적으로 보드를 즐길 수 있다. 먼저 출발은 힐사이드나 토사이드 자세에서 시작한다. 어느 경우이든 우선 진행하려는 쪽으로 몸의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사이의 마찰이 클수록 더 많이 회전했다. 프리킥을 전문으로 하는 일부선수들이 축구화
앞쪽
에 까칠까칠한 가죽을 덧댄다는 속설이 과학적으로는 근거가 있다는 얘기다.그렇다면 비가 오는 날처럼 마찰 계수가 0인 상황에서는 공에 회전을 줄 수 없을까. 그렇지 않다. 아사히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따라서 잘 보이는 지점은 목성의 중앙부분을 통과하는 때다. 결론적으로 대적반이 목성
앞쪽
의 60° 영역에 위치할 때, 즉 전체 시간의 1/6 가량만 뚜렷하게 보인다.그렇다면 지금부터 대적반을 볼 수 있는 시각을 계산해보자. 대적반의 위치는 목성 표면에서 위도 -23.3°, 경도 75° 부근에 위치한다. 즉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