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d라이브러리
"
언어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말한다. 전정훈 반도체시스템공학과 학과장은 “디지털 설계를 흔히 ‘하드웨어 기술
언어
(HDL)를 이용해 합성한다’고 표현한다”며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아날로그 설계와 디지털 설계가 끝난 반도체로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같은 큰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까지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 ...
과학이 말합니다 수학 THE LOVE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여긴다. 하지만 과학에게 수학은 운명과도 같은 ‘The LOVE’다. ‘수학은 과학의
언어
’라고 하지 않았던가. 과학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데 수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그래서 과학동아가 직접 만났다. 수학을 사랑하는 10대 고등학생부터 ‘수학과 물리는 한 몸’을 외치는 20대 대학생, ... ...
[수학뉴스] 인공지능의 수학 실력, 1+1+1+1+1+1+1=6?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수학시험을 치르게 했습니다. 시험 문제는 C나 자바(Java)처럼 컴퓨터가 이해하는 형태의
언어
가 아닌 영어로 출제했습니다. 사람이 수학 문제를 풀 때 추론 능력을 이용하는 것처럼 인공지능이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연구팀의 목적이었기 때문입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40문제 ... ...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어릴 때부터 근육 훈련을 통해 향후 자신만의 스타일로
언어
를 소화해 발음하는 래퍼가 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성악의 경우 조기 교육은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김 원장은 “구강 내 성도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성악 발성을 위해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고도로 발달하면서 순서화된 발음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며 “자유로운 음성
언어
를 구사해 뇌 구조가 한층 더 정밀하게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과학은 이해다_정종태 교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지식을 이용해서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도 구현할 수 있고요. 코딩이라는 논리적인
언어
를 배우면 공대 진학에도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두이노를 전문가 수준으로 익히는 게 올해의 목표입니다.”듣고 있던 이 군은 또 다른 사례로 지난해 초 교내에서 열린 ‘열기구날리기’ 대회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그의 마지막 말에는 그가 가진 파워의 힌트가 있었다. “과학자의
언어
와 정치인의
언어
는 조금 다른 것 같아요. 과학자들은 70~80% 심증이 있어도 절대 확정적으로 말하지 않으니까요. 아직도 적응하는 중입니다. (웃음) 저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도움을 비교적 쉽게 받는 편이에요. 과학자로도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알아 가능했다. 그렇게 전 세계에 하나뿐인 지오지브라 교재가 탄생했다.“홈페이지에서
언어
를 다르게 설정하면 그 나라의 자료를 볼 수 있어요. 세계 각국의 교육 방법을 참고도 하면서, 우리나라 교육에 맞는 방법으로 자료를 만들기도 합니다.” 움직이는 수학 사용법 지오지브라의 큰 장점은 ... ...
음악 들으며 공부하면 창의력 떨어져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심리학부 연구원팀은 19~56세 남녀를 세 그룹으로 나눠 ‘복합원격연상검사(CRATs)’라는
언어
창의력 검사를 진행했다. CRATs는 주어진 세 단어에 공통적으로 이어붙일 수 있는 한 단어를 찾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첫 번째 그룹은 조용한 환경에서 문제를 풀 때와 익숙하지 않은 음악(스페인어 가사)을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전공하고자 했던 학생들은 유학을 떠나야만 했다. 그중 일본 유학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언어
적·문화적 장벽이 낮으며, 졸업 후 대우가 좋아 조선인들이 가장 선호했다. 이런 이유로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는 조선인들이 급격히 늘어났다. 그러나 일본의 이공계 대학에 입학하는 조선인은 매우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