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엄정
정확
비밀
기밀
정밀
d라이브러리
"
엄밀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기차 대신 위로 가속되는 엘리베이터를 예로 들어 자신의 이론을 설명했는데
엄밀
하게 말한다면 이 아인슈타인의 엘리베이터는 높이에 따른 중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작아야 한다. 즉 가속도의 동일성은 국소적(局所的)으로 성립한다.아인슈타인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중력이 공간의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난감한 심경에 빠졌다. 왜냐 하면 현재 재료공학의 한 분야인 금속을 전공하고 있는 나를
엄밀
한 의미에서 순수과학자라 할 수 없고, 재료공학을 영어로 'materials science' 라 부르고 있으므로 과학의 일부로 보더라도 내가 과연 그 글을 쓸 수 있는 자격이 있는가에 대해 회의적이었기 때문이다 ... ...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따라 적절하게 응용이 될 때 가장 컴퓨터답게 쓰여지는 것이다. 미디를 이용한다는 것도
엄밀
하게 말하면 PC의 외부 확장성을 이용하여 음악가들이 사용하는 신서사이저와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길을 터놓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필하모니가 부럽지 않다현재 컴퓨터는 우리 생활속에 상당히 많은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컴퓨터공학과, 유전공학 유전자과학 생명과학과 등 등. 대학원 이상의 과정에선
엄밀
한 차이가 있을지 모르나 학부강의는 거의 공통적인 학과들이 이름을 달리해 수험생들을 적잖이 혼란시킨다.내용 변화도 없이 이름만으로 수험생을 끌어모으려 한다는 비판이나 지나친 세분화로 시야가 좁은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실천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기술하는 객관적 실재가 불완전한 것이라면, 보다
엄밀
한 객관적 실재는 숨어 있는 것인가. 1965년 제네바 근처에 있는 CERN(유럽 공동 원자핵 연구소)에서 일하던 이론 물리학자 벨(J. Bell)이 이 문제에 뛰어 들었다. 벨은 사고실험이 아니라 직접적인 물리실험을 ... ...
정리(定理)속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연결 관계 속에서 일정한 정리들로 도출된다. 정리들을 끌어내고 증명하는 과정은
엄밀
한 연역적 과정이며 한치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정리들은 구체적인 문제에 응용되어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우리가 수학을 공부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리의 ... ...
스모그로 소문난 「공해의 도시」런던 LA 서울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로스앤젤레스형인지를 정확하게 밝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서울의 스모그는
엄밀
히 말하자면 런던형 스모그나 로스앤젤레스형 스모그의 특징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1백만대의 자동차가 변수로최근 신문지상에서 서울의 아황산가스 오염도가 세계 3위라는 보도가 나왔다. 대기오염의 ... ...
국민을 놀라게 한 블랙박스 도청, 얼마나 밝혀졌나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일정 주파수의 전자음을 25∼30일 동안 발사한다.이번에 문제가 된 도청장치 '블랙박스'는
엄밀
한 의미에서 블랙박스라고 부르기는 어렵다. 단지 '은밀히' 설치됐고 용도가 베일에 가려져 있으며 '검은귀(도청)'일 가능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블랙박스라 명명했다.정식명칭이 '비음성통신 전송품질 ... ...
한글인식시스템의 현단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소위 '한글인식시스템'에 과한 연구가 바로 이것이다.일반적으로 인식시스템 혹은 보다
엄밀
하게 패턴인식시스템(pattern recognition system)이란 입력되는 자료의 중요한 특징들을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는 부류(class)들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말한다.이때 입력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도 괜찮다. 따라서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그래서 우리는 흔히 측우기의 발명 시기를 1442년 5월 8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엄밀
하게 말하면 1441년 8월 18일이 보다 정확할 것이다.1년전 가을에서 이듬해 초여름에 이르는 사이, 측우기에는 몇가지 중요한 개량발전이 있었다. 무엇보다 빗물을 받아서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기의 이름을 '측우기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