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신
교섭
교제
섭외
통신
왕래
매스컴
d라이브러리
"
연락
"(으)로 총 72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빤, 나보다 그게 더 중요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너무 깊은 관계 맺기를 두려워하고 개인 시간을 중시하는 자신이 회피형이고, 끊임없이
연락
하고 사랑을 확인받으려고 하는 여자친구가 긴장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회피형과 긴장형의 만남에는 성별 차이도 있었습니다. 여자가 긴장형인 경우 여자의 소유욕은 남자의 연애 만족도를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적군이 지휘체계를 마비시킬 수도 있다. 군인들이 통신이 더 간편한 휴대전화를 비상
연락
수단으로 사용하는 일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쥐도 새도 모르는’ 공격 막는 방법은스마트폰을 둘러싼 모바일 보안 위협은 피해를 입었는지조차 모르기 때문에 방심해선 안된다. 스마트폰은 이상 증상이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한 수학자에게서 아무런 소식이 없었다. K는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수학자에게 아직도
연락
이 없나요?뭐 올 때 되면 오겠지…. 잠깐! 왜 목격자와 수학자가 서명한 서체가 똑같죠? 그러고 보니 이니셜도 비슷하잖아? 뭔가 이상해요. 혹시…? 수학자! 수학자를 잡아야 한다고요!수학자를 의심하는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만약 외계생명이 있고, 그들 중 일부가 엄청나게 발전한 문명을 가졌다면 왜 우리에게
연락
하지 않았을까? 하지만 실제 우리는 그들의 기척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모두 어디 있지?’라는 ‘페르미 역설’로 외계생명이 우리 곁에 없다는 것 자체가 고도의 문명을 가진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언론정보학과다.“마침 오늘 오전, 내년에 발간될 저널에 투고한 논문이 통과됐다는
연락
을 받았어요. 지난 서울시장과 교육감 선거 관련 데이터 연구입니다.”박 교수는 사람들의 ‘속마음’을 밝혀내는 전문가다.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수집해 연관 관계를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말했다.시험관에서 버섯이 쑥쑥여러 곳에서 도움을 받았다. 전문가에게 학생이 직접
연락
을 해 도움을 받았다. e메일에 답장을 주지 않는 분도 있었지만 흔쾌히 해주겠다는 분도 많았다.버섯은 보통 나무나 봉지, 병 등에서 키운다. 그 중 병에 기본 배지를 깔고 그 위에 버섯을 키우는 병재배를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지요. 혹시 진짜 벌새를 발견한 친구들은 ‘어린이과학동아’로
연락
주세요~! 이젠 날아야 할 시간합다리나무 잎에 달린 조그만 번데기에서 푸른큰수리팔랑나비가 나와 날개를 펴고 있어요. 푸른큰수리팔랑나비는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띠며 날개의 끝부분에 있는 노란색 ... ...
병뚜껑 따기 달인 '사이다 사브로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웬일?“어? 사이다에 병뚜껑이 하나도 없는데?”일곱 색깔 화장실 문사건 해결을 위해
연락
을 받은 썰렁홈즈는 사브로따와 함께 1892년 미국으로 갔다.“병뚜껑은 미국의 페인터 부부가 발명했어요. 남편인 윌리엄 페인터는 잘못된 병뚜껑 때문에상한 음료수를 마시고 배탈이 났지요. 그래서 공기는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과학자 프랜시스 골턴에게 편지를 전했다는 답장을 보냈다. 그러나 골턴은 폴즈에게
연락
을 하지 않았고 기다림에 지친 폴즈는 8개월 뒤 직접 네이처에 논문을 보냈다.한 달 사이 지문 논문 두 편 실려논문에서는 아직 ‘지문(fingerprint)’이라는 용어가 쓰이지 않았고 ‘손가락 주름(finger-furrows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계항공공학부에서 나노분야 교수를 뽑기로 했으니 지원해보라고 이홍희 교수에게서
연락
이 왔기 때문. 이렇게 해서 2004년 그는 32살의 나이에 서울대 교수로 부임했다. 현재 서 교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절반은 박사후과정 때 시작한 랩온어칩 분야이고 나머지 절반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