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허위
틀림
실수
과오
실책
실례
d라이브러리
"
오류
"(으)로 총 794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상황 탓으로 돌려 버리곤 한다. 이를 귀인
오류
라고 한다.그런데 나이가 들면 이런 귀인
오류
가 더 많이 일어난다. 특히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그 일을 저지른 사람의 본래 성격이나 자질이 부족해서 그런 것이라고 속단하는 경향이 심하다. 더 놀라운 것은 행위자(예를 들면 지각을 한 사람)의 ...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했다. 만약 캐릭터가 미로에 갇혀 같은 곳을 맴돌거나 벽에 부딪히는
오류
가 생기면,
오류
를 수정하는 ‘디버깅’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흥미진진한 시합은 캠프의 예고편이었다.SW 개발자는 문제 해결사!특별 강연자로 나선 정호영 NHN NEXT 교수는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필요한 것’을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수 없게 된다. 현재는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수정하고 있다. 이렇게 CT 영상에서 나타나는
오류
를 보정해 주는 수학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일도 주목받는 연구 분야 중 하나다. 수학자의 도움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보이지 않는 암흑행성을 가정했던 것처럼 말이다. 과학자들은 생각했다. 일반상대론의
오류
를 수정해 보자. 그것이 수정중력이론이다.중력이 어딘가로 새어나간다2000년 물리학자 지아 드발리는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 가설 대신 다차원 공간을 이용해서 은하단 크기 이상의 먼거리에서 중력이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먼저 ‘복사본’인 RNA를 만들고, 복사본대로 단백질을 만든다. RNA는 ‘원본’인 DNA보다
오류
(돌연변이)가 생길 확률이 10만 배나 높다. 에볼라바이러스는 RNA만 있어 돌연변이가 잘 생기는 만큼 다양한 자손들을 퍼뜨린다.하는 일 사람 몸속에서 에볼라 출혈열을 일으킨다. 감염된 지 20일 쯤에는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과정을 말한다.지금도 각종 전문서적은 ‘감수’의 형태로 전문가들이 1차적으로
오류
가 없는지 살피는 절차를 거친다.MID의 ‘프리뷰어 시스템’이 남다른 건 일반 독자가 주역이라는 점이다. MID멤버에 가입하면 누구든 ‘프리뷰어’가 될 수 있다. 과학 전공자뿐 아니라 의사, 직장인, 주부,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1년에 잘못됐다는 게 밝혀졌기 때문이다.그러나 실패라고 볼 수는 없었다. 켐프의 증명에
오류
가 있다는 것을 밝힌 퍼시 히우드(1861~1955년)는 검증 과정에서 새로운 진보를 이뤄냈다. 켐프의 방법을 활용해 아무리 복잡한 지도라도 5가지 색이면 충분하다는 성질을 증명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아날로그부로 나뉜다. 디지털부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다양한 신호를 처리한다.
오류
를 감지해 수정하는 부분과 여러 개 빔의 신호를 분리하는 부분, 여러 사용자의 신호를 분리하는 부분 등이 포함된다.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로 만든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 NOT 게이트 등을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나온다. 하지만 종종 그렇지 않은 부분이 나타나는데, 연구자들은 그동안 이를 실험
오류
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장은 의문을 품고 연구를 진행했다.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염색체와 쌍으로 존재하는 염색체는 돌연변이가 일어났을 경우 잘 보존된 쪽을 이용해
오류
를 고칠 수 있다. 그러나 보완할 쌍이 없는 Y 염색체는 속수무책이었다. Y 염색체의 유전자에 해로운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계속 제거됐고, 잃어버린 부분이 돌아올 확률은 희박했다. Y 염색체가 한 쌍을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