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력"(으)로 총 1,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이루어진 액체 연료 77kg이 실렸답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7년 동안 모든 기계 전력을 끈 동면 상태로 비행하도록 명령하기도 했지요.또한 명왕성에 최대한 가까이 가기 위해서는 궤도 주기 등을 정확하게 계산해 비행 방향을 정밀하게 정해야 했어요. 이뿐만 아니라 영하 230℃ 이하의 ... ...
- 부드러운 몸으로 점프하는 로봇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로봇의 딱딱한 심장에는 전자 회로, 전력 공급 장치, 배터리 등이 포함돼 있어요. 이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부드러운 몸체는 고무처럼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졌죠. 이 로봇은 부탄과 산소를 태워 바닥면이 볼록해지게 만들어요. 그러면 마치 ...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각종 사물인터넷 기기들에서도 적은 전력으로 얼굴, 목소리 인식 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Part3. ... ...
- 수학으로 배터리의 남은 수명을 측정하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돼 불편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배터리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는 것입니다. 수명이 얼마나 남았는지 알기 어려워 ...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지 ‘전력원’ 10월 30일자에 실렸습니다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절감량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산한 전기량을 직접 확인하고 충전한 전력량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해 서비스 이용에 흥미를 갖도록 유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박문수 평가위원장(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IT기술과 에너지가 접목한 아이디어로,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계산을 해보자. 생산이 일부 금지된 백열전구는 에너지 효율이 2%정도로 아주 낮다. 소비전력 100W인 백열전구가 빛으로 바꾸는 에너지가 불과 2W에 불과하다는 뜻이다(나머지는 열로 소실된다. 이외수의 소설 ‘들개’에는 백열전구를 난방장치로 쓰는 장면이 나온다). 백열전구에서 1초당 나오는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폭이 26m이며, 무게가 27톤으로 42평(약 138.84m2) 정도의 공간이 필요했다. 게다가 너무 많은전력이 필요했는데, 2만 개에 가까운 진공관이 열을 뿜어대 에어컨 설치는 필수였다. 비용도 비용이었지만 자주 교체해 줘야 하는 진공관 때문에도 관리가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니악은 그 뒤로 약 10년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작죠? 그러니 컴퓨터에 사용하는 보안 기술을 스마트워치에 그대로 쓸 수는 없습니다. 전력이나 연산이 많이 필요 없으면서도 효율적인, 또 다른 보안기술이 필요하죠. 저희 연구실은 웨어러블 기기용 앱에서 유출되는 정보가 없는지 추적하고, 실시간으로 보안상태를 확인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생산한다. 300m에서 최고 2400m까지 연을 띄울 수 있고, 이 때 3000명 가량이 쓸 수 있는 3MW의 전력이 생산된다.최대로 풀리면 다시 전기를 이용해 모터를 감는다. 이 때 연이 풀린 경로 그대로 감으면 에너지 손실 때문에 생산량 이상의 전기가 필요하다. 카이트젠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냈다. 연의 한쪽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에 따라 3차원 이미지가 달라집니다. 그런데 3차원 센서는 낮은 전력으로만 작동합니다. 그래서 카메라가 찍으려는 대상과 관련 없는 주변의 빛을 잡으면 윤곽을 잘 감지하지 못하지요. 즉, 사진 속 이미지가 흐릿하게 나타난답니다.최근 이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했다고요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